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리스크 피하자…폭스콘 "인도 투자·고용 두배 확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폭스콘 인도 대표 "인도에 내년엔 더 큰 선물"

애플의 최대 협력사인 폭스콘이 인도에서 투자와 고용을 두 배 확대한다. 미·중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고, 중국 내 사업 리스크 역시 커지자 애플이 탈(脫)중국을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中 리스크 피하자…폭스콘 "인도 투자·고용 두배 확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18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브이 리 폭스콘 인도 대표는 전날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링크드인 게시글을 올리며 인도 사업 규모를 두 배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도 내에서 고용, 외국인직접투자(FDI), 사업 규모를 두 배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더 큰 생일 선물을 드리기 위해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폭스콘은 현재 인도 벵갈루루 등에 12억 달러(약 1조5900억 원)를 투자해 공장을 짓고 있다. 벵갈루루 공항 인근 부지에 짓는 공장에선 완공 후 아이폰을 생산할 가능성이 높으며, 1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폭스콘의 인도 공장 확대는 '세계의 공장'이었던 중국의 역할이 빠르게 축소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지적했다. 애플을 포함한 글로벌 주요 기업들은 중국을 떠나 베트남, 인도 등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고 있다.


특히 애플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과 중국 정부의 봉쇄 조치, 중국 근로자들의 공장 집단 탈출 등으로 아이폰 생산에 큰 차질을 빚은 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스마트폰 시장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점도 애플이 주요 생산기지로서 인도의 역할에 주목하는 이유로 꼽힌다. 폭스콘은 이미 인도 내에서 9개 부지에 30개의 공장을 운영 중이며 근로자만 수만 명에 달한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도 "인도 내 (생산기지) 추가 확장은 현재 초기 단계"라며 앞으로 인도 공장을 지속해서 확대해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과 중국의 마찰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고 중국 내 반미 정서가 커지고 있다는 점도 애플의 탈중국 행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중앙정부 기관 공무원들에게 '아이폰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 기업인 애플을 상대로 보복 조치에 나선 것이다. 최근 중국 화웨이는 자체 개발한 7나노(nm·10억분의 1m) 칩을 탑재한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를 지난 12일 아이폰15 공개에 앞서 기습 출시한 뒤, 대대적인 홍보에 나서며 자국민들의 애국 소비를 부추기고 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