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에게 명품이란" 삼성문화재단, 매거진 와나 5호 '명품 와 나' 발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발견이거나 중첩이거나’ 명품에 대한 다양한 정의
‘사람과 예술이 만나는 플랫폼’ 지향

삼성문화재단(이사장 김황식)이 문화예술 매거진 와나(WANA) 제5호 '명품 와 나'를 발간했다고 12일 밝혔다.

"나에게 명품이란" 삼성문화재단, 매거진 와나 5호 '명품 와 나' 발간 와나 5호_표지. [사진제공 = 삼성문화재단]
AD

와나(WANA)는 크리에이터들이 만든 크리에이터들의 이야기를 지향하는 문화예술 매거진으로 지난해 5월 창간 후 공예, 몸(춤), 글, 밥을 주제로 다뤘다.


이번 호는 ‘나에게 명품이란 무엇인지’를 주제로 패션 스타일리스트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서영희가 객원 편집장을 맡았다.


'명품 와 나'는 7명의 인물을 통해 명품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소개한다. 남성복 브랜드 JiyongKim의 디자이너 김지용, 임태희 디자인스튜디오 소장 임태희, 누데이크 아트 디렉터 박선아, 대한민국 1세대 패션 디자이너 진태옥, 영화감독 홍지영, 싱글베이커리를 운영하는 베이커(Baker) 이석진과 이번 호 객원 편집장인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서영희에게 그들이 생각하는 명품에 대해 묻는다.


이들에게 명품은 구체적인 물건이나 특정 브랜드가 아닌 일종의 ‘상태(-ity)’로서 존재하며, 각각 시(示)·기호(記好)·해(解)·없음[無]·포착(怖捉)·품(品)·결(結) 이라는 키워드로 명품을 새롭게 정의내린다.


인터뷰 형식도 독백이거나 일기, 편지와 대화, 독자를 안내하는 도슨트 또는 한편의 이야기집 등 입체적으로 구성해 각 인물과 이야기의 개성을 살렸다.


표지 아트워크는 작은 카메라로 일상의 풍경을 담아 온 이윤호 작가가 우리 주변에서 포착한 ‘명품’을 촬영하여 담았고, 편집 디자인은 창간호부터 함께해온 신신(신해옥, 신동혁 디자이너)이 담당했다.


"나에게 명품이란" 삼성문화재단, 매거진 와나 5호 '명품 와 나' 발간 와나 5호_내지. [사진제공 = 삼성문화재단]

서영희 객원 편집장은 “순서를 챙겨 읽을 필요도 없고, 집중해서 보지 않아도 좋다. 생각을 내려놓고 멍하게, 그러다 문득 ‘나한테는 명품이 뭐였지?’ 하는 질문을 던지기 바란다”며, “이 책 어디쯤 당신과 사소하게나마 닮은 결이 있다면 기쁘겠다”고 말했다.


'와나(WANA)'는 매 호 예술 분야의 한 가지 주제를 선정하고 사람을 중심으로 조명하는 ‘원 테마 (One-Theme) 매거진’이다. 매 호 새로운 객원 편집장을 섭외해 신선한 시각과 영감을 주는 아티스트를 소개한다.



연 3회, 호당 5000부를 발행하며, 전국의 도서관, 독립서점, 복합 문화공간 등에 비치하고 개인 독자는 삼성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 계정(@wana_culture)에서 잡지 발간 소식, 인터뷰 영상, 제작 비하인드 등 다양한 콘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