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정용 전기요금, 한국 가장 저렴"…원전없는 나라 요금폭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日닛케이, G7 등 주요 8개국 분석
가장 비싼 나라 '원전제로' 이탈리아
"화석연료 의존도 따라 요금 차이 커"

지난해 한국의 가정용 전기요금이 주요 7개국(G7) 등 8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하 '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닛케이는 국제에너지기구(IEA) 통계를 바탕으로 G7과 한국의 2022년 가정용 전기요금을 산출했다.


이 결과 조사대상국 가운데 지난해 가정용 전기요금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이탈리아였다. 닛케이는 일본 가정의 평균 한 달 전기 사용량인 260kWh(킬로와트시)를 썼을 때를 기준으로 각 국가별 요금을 산출했다. 이렇게 계산한 이탈리아의 전기요금은 1만3083엔(약 12만9000원·지난해 원·엔 평균환율 100엔=985.24원 적용)이었다.


이탈리아에는 원전이 없으며, 전력 생산의 절반가량을 액화천연가스(LNG)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난해 에너지 가격 상승의 직격탄을 맞아 2021년보다 요금이 40%나 올랐다. 그다음은 영국(1만2942엔·약 12만8천원)으로, 이탈리아와 근소한 차이로 2위를 차지했다. 영국 또한 전기 발전의 40%가량을 LNG에 의존하고 있다. 3위는 독일(약 1만1921엔·약 11만7000원)이었다.


"가정용 전기요금, 한국 가장 저렴"…원전없는 나라 요금폭탄 서울의 한 다세대주택에 전기 계량기가 설치돼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AD

4위부터 7위까지는 일본(8993엔·약 8만9000원), 프랑스(7425엔·약 7만3000원), 미국(5168엔·약 5만1000원), 캐나다(4269엔·약 4만2000원)가 각각 4~7위를 차지했다. 일본도 2021년 대비 전기요금이 31%나 급등했다. 일본과 이탈리아, 영국의 전기요금이 급등한 이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화력발전의 연료가 되는 LNG와 석탄의 국제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화석연료 의존도가 낮은 프랑스, 미국, 캐나다는 전기요금이 앞의 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했다. 프랑스는 전력 생산의 70%가량을 원전이 담당하고 있으며, 미국은 셰일가스(탄화수소가 풍부한 셰일층(근원암)에서 개발·생산하는 천연가스)를 생산한다. 또 캐나다는 지형을 이용한 수력발전 비중이 60%에 달한다.


"한국 전기요금, 일본의 40% 수준"
"가정용 전기요금, 한국 가장 저렴"…원전없는 나라 요금폭탄 새울원자력본부 신고리3,4호기

닛케이가 보도한 한국의 전기요금은 3650엔(약 3만6000원)으로 8개 나라 중 가장 낮았다. 또 이는 일본과 비교할 때 60% 가까이 저렴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닛케이는 "한국은 화석연료 의존도가 일본과 비슷하지만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한국전력의 대주주가 정부이기 때문에 정치적 요소가 얽혀 요금 인상이 어렵다는 특수한 사정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