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하늘의 FunFun 골프]2단 그린 퍼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홀인 보다 거리 맞추기에 집중
1단과 2단 경계 지점서 연습 스트로크
헤드업 금지, 스위트 스폿 거리 확보

주말골퍼들의 비거리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장비와 훈련 때문인데요. 골프장들은 코스를 설계할 때 이 점을 계산하게 됩니다. 많은 골퍼가 짧은 아이언으로 그린을 노릴 수 있어서 난이도를 조절하게 되는데요. 그린의 크기를 줄이거나 아니면 2단 그린을 만들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아마추어 골퍼 입장에선 어려운 퍼팅을 남겨두고 됩니다. 이번엔 2단 그린을 공략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발품을 팔아야 합니다. 대충 거리만 측정하고 퍼팅을 하면 3퍼트를 범하기가 쉽습니다. 2단 그린은 투어 선수들도 퍼팅하기가 어려운데요. 2단 그린에서는 홀에 넣겠다는 생각보단 가깝게 붙여 2퍼트로 마무리하겠다는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김하늘의 FunFun 골프]2단 그린 퍼팅
AD

공이 1단에서 2단으로 올라간 뒤 어떻게 굴러가는지 알아야 하는데요. 1단뿐만 아니라 2단에서 연습 스트로크를 해야 합니다. 우선 1단과 2단 경계 지점을 찾고요. 그곳에서 연습 스트로크를 통해 거리감을 익힙니다. 이후 공이 놓여있는 1단 그린으로 돌아와서 다시 한번 연습 스트로크를 합니다.


거리를 두 구간으로 나눠서 생각하는 지혜가 필요한데요. 공이 언덕을 올라가는 거리와 이후 홀까지의 거리를 각각 계산합니다. 두 거리를 합산해 전체 거리를 판단하는데요. 거리감을 찾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2단 내리막에선 무조건 홀을 지나가게 쳐야 합니다. 내리막이라고 약하게 치면 다시 어려움에 처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퍼팅은 오르막을 남겨둬야 플레이가 수월합니다.


연습 스트로크를 할 때는 공을 보지 말고요. 홀 컵을 보면서 스트로크를 해야 합니다. 그래야 좀 더 정확한 거리감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2단 그린에서도 중요한 것은 정타입니다. 퍼터도 다른 클럽과 마찬가지로 스위트 스폿이 있는데요. 공이 얇게 맞으면 제 거리가 나오지 않습니다. 연습할 때는 홀 컵을 보고 연습 스트로크를 하지만 퍼팅하는 순간에는 헤드업을 하지 말고 공을 좀 더 오래 보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2단 그린에서는 라인보다 스피드가 중요한데요. 약하게 치면 공이 다시 굴러 내려오고, 강하게 치면 홀을 훌쩍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스피드 조절을 잘해서 홀 근처에 공을 갖다 놓아야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를 하지만 2단 그린에선 거리를 맞추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퍼터로 연습 스트로크를 할 때 ‘이렇게 치면 이렇게 갈 것이다’라는 그림을 그려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한일투어 14승 챔프 출신 스포테이너




노우래 기자 golfm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