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네카오, 2분기 최대 매출에도 '엇갈린 표정'…하반기 AI 전면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네이버, 영업익도 최대…각 사업 고른 성장
카카오, 에스엠 인수 제외시 매출·영업익↓

네카오, 2분기 최대 매출에도 '엇갈린 표정'…하반기 AI 전면전
AD

네이버와 카카오가 올해 2분기 나란히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도 엇갈린 표정을 지었다. 네이버는 각 사업이 고르게 성장해 수익성도 올랐지만 카카오는 SM엔터테인먼트(에스엠) 인수 효과를 제외하면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4일 네이버는 2분기 매출이 2조40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7% 늘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0.9% 증가한 3727억원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최대 규모다.


사업별 매출을 보면 서치플랫폼은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한 9104억원을 기록했다. 이중 검색 광고는 4.3% 늘어난 6892억원이다. 온라인 광고 시장 하락세에도 상품 고도화로 광고 효율을 높인 결과다. 반면 디스플레이 광고는 경기 둔화로 9.8% 줄어든 2174억원이다.


네카오, 2분기 최대 매출에도 '엇갈린 표정'…하반기 AI 전면전

커머스는 전년 동기 대비 44.0% 증가한 6329억원이다. 2분기 커머스 거래액은 11조9000억원으로 14.8% 늘었다. 수수료율이 높은 브랜드스토어, 여행, 명품 리셀(재판매) 플랫폼 '크림' 비중이 늘어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


핀테크는 전년 동기 대비 14.9% 증가한 3397억원이다. 2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14조6000억원으로 21.2% 늘었다. 이중 외부 결제액은 41% 증가한 6조3000억원이다. 오프라인 결제액도 삼성페이 연동에 따라 2배 늘어난 1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콘텐츠는 전년 동기 대비 40.1% 증가한 4204억원이다.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8.6% 늘어 4448억원을 기록했다. 일본에서 오리지널 콘텐츠 비중 확대로 유료 이용자가 20% 이상 증가했다. 미국에서도 유료 이용자당 결제액(ARPPU)이 20% 이상 확대됐다.


클라우드 및 미래 기술 관련 매출은 1045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0.4% 줄었으나 전 분기와 비교하면 12.1% 늘었다. 이 가운데 기업 간 거래(B2B) 매출액은 992억원이다. 공공부문 매출 성장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증가했다.


각 사업이 고르게 성장한 네이버와 달리 카카오는 부진한 실적을 냈다. 카카오의 2분기 매출은 2조425억원, 영업이익은 1135억원이다. 처음으로 분기 매출 2조원을 넘어섰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34% 줄었다. 에스엠 인수 효과를 제외하면 매출은 1% 줄었고 영업이익은 41% 감소했다. 에스엠 인수와 인프라 투자 등으로 비용이 늘어난 탓이다.



양사는 올 하반기 초거대 인공지능(AI)에서 전면전을 예고했다. 네이버는 오는 24일 차세대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와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를 공개한다. 클라우드 기반의 B2B 상품들도 강화한다. 카카오도 오는 10월 이후 비용효율성이 높은 AI 모델을 공개할 계획이다. 이를 기업 고객 커뮤니케이션 영역부터 적용할 계획이다. 톡채널 파트너 기업이 AI로 고객에게 개인화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