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초전도체'에 중국 관영매체도 반색 "위대한 발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과학 혁명, 국경·민족 초월해"
中연구진도 초전도성 재현 주장

중국 관영 매체가 국내 연구진이 발명했다고 주장하는 '상온·상압 초전도체'에 대해 찬사를 쏟아내 관심이 쏠린다.


3일(현지시간) 중국 관영지 '환구시보' 영문판 글로벌타임스는 "지정학적 충돌과 대립의 소란 속에서 세계가 모처럼 가슴 설레는 새 관심사를 얻었다"라며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상온·상압 초전도체 추정 물질 LK-99를 소개했다.


매체는 "(LK-99의) 소식은 과학계를 넘어 빠르게 퍼져 여러 나라에서 열띤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국제자본시장에서도 연쇄반응을 일으켜 초전도 기술 관련 주가가 급등했다"라며 "물리학계는 오랫동안 이렇게 활기차지 않았다"라고 강조했다.


'초전도체'에 중국 관영매체도 반색 "위대한 발견"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상온 초전도체 추정 물질 LK-99.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이어 "초전도성은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라며 "그동안 초전도성은 극저온에서만 유지되는 등 제약이 커 상업화를 하기 힘들었지만, 상온 초전도체가 구현되면 에너지, 교통, 컴퓨팅, 의료 테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글로벌타임스는 LK-99가 실제 초전도성을 띤 물질인지 여부에 대해 "한편으로는 회의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사실이기를 바란다"라며 "인간 기술의 혁명적 돌파구에 대한 기대는 거의 모든 사람의 마음속에 묻혀 있고, 점화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 열망은) 국경과 민족을 초월한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청하이신 중국 화중과학기술대 재료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지난 2일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 '빌리빌리'에 LK-99의 초전도성을 재현했다며 관련 영상을 게재한 바 있다.


연구팀이 공개한 영상에선 검은색의 작은 점이 일어났다가 눕기를 반복한다. 연구팀은 이를 두고 N극, S극 등 극성과 무관하게 '반자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뜻이라며, "LK-99 구현에 성공했고 마이스너 효과(반자성 효과)'를 검증했다"라고 주장했다. 마이스너 효과는 초전도성을 입장하는 현상 중 하나로 전해진다.


다만 실제 초전도체는 마이스너 효과와 함께 전기저항값이 0으로 하락하는 현상도 함께 관측해야 한다. 연구팀은 아직 실제 초전도체의 전기처럼 전기저항이 0으로 줄어드는지 확인하지 못했다.



한편 LK-99는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 연구팀 등이 발견해 붙인 이름이다. 이 대표 연구팀은 최근 해당 물질의 초전도성을 관측했다며 관련 프리프린트(pre-prints, 논문 출판 전 연구 공개)를 게재했고, '링크드인'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조제법까지 공개해 여러 국제 연구소들은 재현 실험 및 검증에 몰두하고 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