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출 플러스전환 꾀한다…'무역구조 대전환포럼' 출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배터리·전기차·바이오·시스템반도체 등
수출 상품, 고부가제품 위주로 재편
"연말까지 '무역구조 대전환' 전략 수립"

한국무역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 타워에서 '무역구조 대전환 포럼 킥오프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포럼 공동 본부장인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과 안덕근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을 비롯해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 유정열 KOTRA 사장, 주현 산업연구원장 등 관계 기관장과 민간 전문가가 참석한다.


정 부회장은 한국 상품 세계 시장 점유율이 2017년 3.23%로 최고치를 기록한 뒤 작년 2.74%로 떨어졌다고 했다. 수출 산업 기반이 약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외 요인은 물론 노동력, 기술력, 자본 축적 수준 등을 고려해 한국 실정에 맞는 수출 전략을 짜야 한다고 했다.


정 부회장은 "한국은 저출산·고령화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생산가능인구가 줄어 가까운 미래에 노동집약 산업 해외 이전이 가속화하고 수출은 어려워져 수출 품목 수가 줄 우려가 있다"며 "수출 상품은 배터리, 전기 동력차, 바이오, 시스템 반도체, 수소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상품 위주로 매우 빠르게 재편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K-컬처'와 'K-콘텐츠', 스타트업과 디지털 무역 확산과 중간재 수출 확대도 수출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출 플러스전환 꾀한다…'무역구조 대전환포럼' 출범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AD

안 본부장은 "한국 수출은 특정 품목·지역에 편중된 무역구조 때문에 최근 글로벌 경기변동에 따라 주기적인 등락을 반복하는 등 대외 여건에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대외 경기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EU CBAM) 등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쉽게 흔들리지 않는 안정적인 무역구조로의 전환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했다.


수출 다변화·무역구조 고도화 등 4개 분과 분과장을 선출해 포럼 구성과 운영 방식을 확정할 방침이다. 무협과 산업부는 오는 11월까지 5개월간 포럼 민관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무역구조 대전환 전략'을 올해 안에 수립할 예정이다.



정 부회장은 "앞으로 분과별 과학적 조사와 연구를 토대로 이상보다는 냉정한 현실 진단을 통해 대안을 마련하고 수출 현장과 적극 소통할 것"이라고 했다. 안 본부장은 "포럼을 통해 제시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이 추후 정부 정책에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