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콕!건강]땀범벅된 내 피부…여름엔 무좀 조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곰팡이가 창궐하기 쉽다. 또 비와 땀 속에 섞인 여러 가지 화학물질과 불순물에 의해 피부가 손상될 우려도 높다. 특히 여름철에 자주 발생하는 피부 감염성 질환으로는 곰팡이성 질환인 무좀과 사타구니 부위의 완선, 그리고 간찰진 등을 꼽을 수 있다.


[콕!건강]땀범벅된 내 피부…여름엔 무좀 조심
AD

무좀균을 막기 위해서는 무좀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우선 잘 알아야 한다. 무좀균은 고온다습하고 피부가 밀폐된 조건에서 잘 번식한다. 그렇기 때문에 특히 장마철에는 신발을 두세 켤레 준비하고 번갈아 신는 게 좋다. 신발이 젖었다면 충분히 말린 다음에 신어야 한다.


무좀은 발뿐만 아니라 사타구니 쪽에도 생긴다. '완선'이라고 부르는 사타구니 양쪽에 생기는 무좀은 발에 있던 무좀균이 사타구니로 옮겨지면서 생긴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우진 서울아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발 무좀과 완선은 병변 부위를 습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며 "적절한 항진균제 연고를 한 달 정도 바르면 치료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두 피부 면이 맞닿은 부위에 생기는 염증성 피부염인 간찰진도 고온다습한 여름에 잘 생기는 피부 질환이다. 목주름 부위를 비롯해 무릎 뒤, 손가락 사이, 엉덩이, 가랑이 사이, 발가락 사이 등 피부가 맞닿는 부위면 어디든 생길 수 있다. 특히 빗물과 접촉한 후 씻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빗물에 섞여 있는 각종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하면서 염증반응으로 이어져 붉은 반점과 같은 접촉성 피부염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 교수는 "피부가 접히는 부위는 습하지 않게 관리하고 시원한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며 "증세가 가벼우면 약한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연고를 바르면 호전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