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번엔 아프리카…해외 영토 넓히는 대웅 '펙수클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모로코 제약사 쿠퍼파마와 수출 계약
출시 1년도 안 돼 글로벌 3개국 품목허가

대웅제약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가 아프리카에 수출 계약을 체결하면서 해외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엔 아프리카…해외 영토 넓히는 대웅 '펙수클루' 대웅제약 펙수클루 40㎎. [사진제공=대웅제약]
AD

대웅제약은 모로코 현지 제약회사인 쿠퍼파마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 신약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계약 규모는 2032만달러(약 270억원)로 펙수클루의 현지 발매 계획 시점은 2025년이다. 북아프리카 최대 의약품 시장으로 꼽히는 모로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은 755억원 규모로, 모두 프로톤펌프 억제제(PPI) 계열로 이뤄져 있다. 펙수클루는 모로코에 첫선을 보이는 P-CAB 제제다.


쿠퍼파마는 1933년 설립 후 제약 산업에서 빠르게 사업을 확장해오며 모로코 위식도역류질환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지키고 있다. 대웅제약은 쿠퍼파마의 현지 시장 장악력과 병·의원 네트워크를 활용해 PPI 제제를 P-CAB 계열인 펙수클루로 빠르게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나아가 모로코를 필두로 아프리카 대륙에서도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바꿔나간다는 전략이다.


P-CAB 제제는 기존 제제 대비 복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내세우며 국내외에서 기존 프로톤펌프 억제제(PPI) 제제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기존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주로 처방된 PPI 제제는 식전 30분에 복용해야 하고 잠자는 중에도 위산이 분비돼 야간 속쓰림 증상을 유발했다. 반면 P-CAB 제제는 식사 시간과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고 약효도 상대적으로 빠른 편이다. 위산 분비가 억제되면서 야간 속쓰림 역시 개선됐다.


국내 출시된 지 채 1년도 되지 않은 펙수클루는 이미 해외 3개국에서 품목허가를 받으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웅제약은 지난해 7월 펙수클루를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출시 4개월 만인 지난해 11월에는 필리핀 식약청으로부터 펙수클루의 해외 첫 품목허가를 받았다. 이어 지난 2월과 3월에는 각각 에콰도르와 칠레 당국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현재 브라질과 멕시코, 페루, 베트남 등 8개국에서는 허가 신청을 완료하고 관련 절차가 진행 중이다.


글로벌 빅마켓으로의 진출 속도 역시 높이고 있다. 대웅제약은 지난 5일 미국과 캐나다 지역에서 펙수프라잔 성분의 임상 및 상업화 권리를 가진 미국 제약사 뉴로가스트릭스와의 독점권 라이선스 계약을 종료하기로 합의했다. 이와 동시에 북미와 유럽, 일본 등 대규모 시장에서 임상과 개발 진행이 가능한 다국적 제약사 여러 곳과 협상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새로운 파트너사와의 계약을 통해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주요 시장의 진출 속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번엔 아프리카…해외 영토 넓히는 대웅 '펙수클루'

대웅제약이 펙수클루의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는 건 P-CAB 제제의 글로벌 시장 규모가 매년 성장세를 보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인 BCC 리서치에 따르면 주요 17개국 기준 P-CAB 시장은 2015년 610억원에서 2030년 1조876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25.7%에 달한다.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글로벌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펙수클루의 명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출시 후 1년도 안 돼 아프리카 대륙까지 진출해 고무적으로 생각한다"며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의 강점을 지속적으로 알려 펙수클루를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