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윤석열 정부 금융사령탑 김주현 금융위원장 배출
김종인 정몽준 허태수 최불암 등 각계 활약
고딕형 건물, 붉은 벽돌 '겨울연가' 촬영지

편집자주한국 사회는 거대한 그물망 사회다. 학연, 지연, 혈연이 얽혀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최근 관심으르 끈 것은 학맥이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면서 하버드대, 서울법대, 충암고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 것이 상징적이다. 연결망은 단순한 인연에 그치는 경우도 있지만 정책 결정 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아시아경제는 새롭게 주목되는 고등학교들을 중심으로 인맥을 살펴보는'新학맥'을 격주로 토요일에 보도한다. ①충암고 ②경문고 ③마포고 ④경기고⑤여의도고⑥현대고⑦중앙고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중앙고등학교(중앙고)는 1908년 6월 애국계몽단체인 기호흥학회가 기호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호남학회, 교남학회, 관동학회 등이 1910년 11월 기호흥학회에 통합되면서 학회 이름을 중앙학회로 바꿨고 교명은 중앙학교로 변경했다. 1951년 중앙중학교와 분리하며 중앙고등학교로 개편됐다. 고려대학교 재단이기도 한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이 중앙고를 운영하고 있다.


중앙고는 김성수(1회·전 부통령), 이희승(2회·국어학자·전 동아일보 사장), 고재욱(3회·전 동아일보 사장), 김용식(4회·전 외무부장관), 변영로(6회·영문학자), 정진석(41회 ·전 추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족적을 남긴 인물들을 다수 배출했다. 관계에서는 김용식(22회·전 UN대사), 김종인(49회·전 국회의원·보건복지부 장관), 최광식(62회·전 문화부 장관), 최기영 (65회·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이 있다.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AD

윤석열 정부 초대 금융사령탑인 김주현 금융위원장(68회)도 중앙고 동문이다. 1958년 서울에서 태어난 김 위원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재무부(재정경제원, 기획재정부로 명칭 변경)를 거쳐 금융위원회에서 금융정책국장, 증권선물위원회 상임위원, 사무처장 등을 지냈다. 이후 예금보험공사 사장,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윤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인사청문 요청 사유에서 "공직과 민간을 아우르는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금융정책에 대한 전문성뿐 아니라, 금융시장 및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안정적인 위기관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금융시장 안정, 가계부채 관리, 코로나19 대응 후속 조치 등 당면한 금융 현안을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가고, 금융혁신 가속화 및 자본시장 선진화 등 우리 금융산업의 발전과 경제성장을 위한 핵심 정책을 훌륭히 수행할 최적임자로 판단된다"고 내정 이유를 밝혔었다.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중앙고 출신 주요인사.(왼쪽부터)김주현 금융위원장, 김재호 야구선수(두산베어스), 김종인 대한발전전략연구원 이사장, 허태수 GS 회장,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 승현우 서울여자대학교 총장,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 최불암 탤런트, 김창완 가수 (밴드 산울림), 박지만 EG 회장

중앙고 출신 인사들은 재계에서 맹활약하고 있다. 특히 범 LG그룹과 현대그룹에 중앙고 동문이 많다. 구인회 LG그룹 창업주는 1924년 중앙고에 입학했지만 2학년을 마치고 귀향, 1931년 진주시에 LG그룹의 모태가 되는 구인회 상점을 열었다. 허진수 GS칼텍스 상임고문 (63회)이 중앙고를 나왔으며, 구자균 LS일렉트릭 대표이사 회장(67회)과 구본걸 LF 회장(67회), 허태수 GS 회장(67회)은 중앙고 동기다.


고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6남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61회)과, 7남인 정몽윤 현대해상화재보험 회장(64회)은 중앙고 선후배 사이다. 특히 정몽윤 회장은 사촌동생 정몽선 성우그룹 회장(64회)과 중앙고에서 함께 수학했다. 또 현대가는 아니지만 김주용 전 현대전자 사장(49회)도 중앙고 출신이고,이수호 현대중공업 전 기획실장(61회·부사장)은 정몽준 이사장과 중앙고 동기 동창이다.


13회 졸업생인 김용완 경방그룹 창업주는 1946년 경성방직 4대 사장으로 취임한 이후 1970년 경방그룹 초대 회장에 올랐다. 1975년 명예회장으로 물러날 때까지 경방을 이끌었다. 6차례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맏아들 김각중 전 경방 명예회장(33회)도 중앙고를 졸업했다. 1962년 효성그룹 전신인 효성물산을 창업한 조홍제 효성그룹 창업주(18회), 박성용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명예회장(41회), 조중건 대한항공 고문(42회·전 부회장)도 동문이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아들 박지만 EG 대표이사 회장(68회),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67회)도 중앙고 출신이다.


제약, 철강, 건설, 금융계에서도 동문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고 이철배 대웅제약 명예회장(40회), 정지석 한미약품 공동설립자(51회), 김영진 한독약품 회장(66회), 백승호 대원제약 대표이사 회장(66회), 김원규 삼성제약 전 대표(67회), 윤재승 대웅제약 최고비전책임자(72회) 등이 중앙고 출신이다. 건설업계에서는 동국제강 그룹의 장세주 회장(63회), 이필승 풍림산업 대표이사 사장(60회) 등이 활약하고 있다.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서울 중앙고등학교 전경 인촌 김성수 상.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금융계에는 고 이겸재 전 대한생명보험 회장(20회)을 비롯해 이동훈 전 제일화재 회장(57회), 이강만 전 하나은행 부행장(65회), 황서광 전 흥국쌍용화재보험 사장(66회), 김주윤 전 흥국생명 사장(62회) 등이 있다. 윤용로 코람코자산신탁 회장(65회·전 외환은행장), 고정석 일신창업투자 대표이사 사장(67회), 백승엽 서스틴베스트 상임고문(70회) 등도 모교를 빛내고 있다.


정계에서는 윤석열 대통령과 관련해 '별의 순간'을 언급했던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49회·대한발전전략연구원 이사장)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들 외에도 전 동국대 불교대학장으로 한 평생을 불교 연구에 몸담았던 고 김잉석(17회), 국내 최초 미술사학자로 이름을 알린 고 이용희(25회·3·1운동 대표 이갑성씨 아들), 섬유공학자로 세계 최초로 방탄섬유를 개발한 KIST 전 석좌연구원이었던 고 윤한식(40회) 등 학계에 굵직한 발자취를 남긴 동문들도 많다.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계우회보 181호

최근에는 '세계폐경학회'에서 'Henry Burger'을 수상한 윤병구 성균관의대 명예교수·리투클리닉 원장(67회)이 눈에 띈다. 이 학술상은 세계폐경학회 회장을 지낸 'Henry G Burger' 교수의 폐경 분야에 대한 공로를 기리기 위해 제정, 탁월한 연구 업적과 폐경학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의학자 1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또 이양복 성신여대 창의융합대학장(68회), 승현우 서울여자대학교 총장(68회) 등도 동문이다. 동문은 아니지만, '100세 철학자'로 유명한 김형석(103세)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가 1947년 약 7년간 중앙고에서 교사로서 후학을 양성하기도 했다.


언론계에서는 이웅희 전 동아일보 편집국장(40회·문화체육관광부장관·13·14·15대 국회의원), 주명갑 전 중앙일보 편집국장(47회), 조강환 동아일보 동우회 명예회장(50회), 전승훈 동아일보 콘텐츠기획본부 이슈앤피플팀 부장(80회) 등이 있다. 법조계에는 김태현 전 대법관(33회), 심훈종 전 서울형사지법 부장 판사(47회), 안동수 전 법무부장관(50회) 등이 눈에 뛴다.


문화·방송·스포츠계에서도 중앙고 출신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우선 '영화계의 산증인' 남궁원(45회·본명 홍경일)이 중앙고를 나왔다. 남궁원의 아들은 자서전 '7막7장'으로 유명한 하버드 출신으로 국회의원을 지낸 홍정욱 올가니카 회장이다. 또 '수사반장'과 '전원일기'로 큰 사랑을 받은 배우 최불암(49회), 뮤지컬 배우 박건형(87회), 가수 김창완(62회), '4전 5기' 신화의 주인공인 홍수환 전 권투위원회(KBC) 회장(60회), 정해성 대한축구협회 지도자 강사(69회·전 베트남 호치민FC 감독) 등이 있다.


중앙고 야구부는 1910년 창단했다. 1972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 1965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2회 우승했다. 현재 프로야구 1군에서 맹활약하는 김재호 두산베어스 선수가 중앙고 출신이다. 축구부는 1918년 창단해 1940년대 해체했지만, 1962년 다시 창설 1977년 전국고교축구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2019년 대통령금배 전국고등학교축구대회에서는 축구부 창단 이래 대회 첫 우승을 했다.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중앙고등학교 교정의 6.10 만세기념비.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까지…'개교 115년' 중앙고]


올해 개교 115주년인 중앙고의 역사는 한국 근현대사와 흐름을 같이한다. 특히 일제강점기 3·1운동, 6·10만세운동 등 중요한 역사의 고비마다 중앙학교의 인물들이 있었다. 이는 오늘날까지 중앙고 동문들의 자긍심 원천이이기도 하다.


중앙학교의 역사는 1908년 1월 경기·충청도 출신의 우국지사들을 중심으로 창립된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로부터 비롯했다. 당시는 을사늑약(乙巳勒約·1905) 체결로 나라의 명운이 위태롭던 시절이었다. 이에 민족 선각자들은 신교육·문화의 계몽을 통해 후학을 양성하고 실력을 기르는 일이라고 생각해 학회·학교를 조직하는 데 힘을 썼다. 기호흥학회는 같은 해 6월 신문에 학생모집 광고를 내고 '기호학교'라고 알렸다. 20일 한성 북부 소격동 학회 건물에서 열린 개교식에는 입학생 90명과 함께 수많은 학회 관계자와 시민들이 참석했다. 그러나 재정난으로 제대로 운영을 할 수 없었다. 그러다 1915년 인촌 김성수 선생이 인수했다. 김성수는 1917년 3월 교장에 취임해 현 위치인 종로구 계동 1번지에 학교부지 4311평을 매입하고 11월에는 건평 120여 평의 2층 건물을 완공해, 12월에 학교를 이전했다.


1919년 중앙학교 학생들은 3·1운동에 적극 참가했다. 3월 1일 파고다공원에서 시작된 시위는 물론 3월 5일 남대문역 광장에서 시작된 서울 제2차 시위에도 전교생이 참가했다. 서울과 지방에서 검거된 중앙학교 학생들은 확인된 수만도 30여 명에 달했다. 결국 3월 중에 열려야 할 졸업식도 치를 수 없었다고 한다.


중앙고는 한국 보이스카우트 운동의 발상지로도 유명하다. 세계 보이스카우트 운동은 1907년 영국에서 육군중장 바덴 포웰에 의해 처음 시작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중앙학교가 발상지다. 1922년 10월 중앙학교 교사였던 관산(冠山) 조철호 선생이 학생 8명과 함께 결성한 '조선소년군'이 모태가 됐다. 관산은 "너희는 이 민족의 화랑이다. 민족을 구하는 선봉이 돼라"고 가르쳤다. 하지만 일제는 해산을 종용했고, 조선소년군은 끝내 1937년 가을에 해체되는 비운을 겪었다.


2000년대에 들어와 학교는 변화를 추진했다. 2005년 12월 정보과학관, 2006년 2월에는 체육관을 완공한 데 이어 기존 교사(校舍)도 리모델링했다. 2008년 인조 잔디구장 개장식도 가졌다. 이로써 중앙고는 선진국과 비교해 손색이 없는 최첨단 시설을 갖추게 됐다. 이를 두고 동문들은 전통과 첨단이 어우러진 배움의 전당이라고 평가한다. 또 건축적인 측면에서도 '겨울연가' 촬영지로 쓰이는 등 이른바 '예쁜 학교'로 잘 알려져 각종 촬영 장소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이용균 중앙고 교장은 "1908년 민족 선각자들이 교육으로 나라를 구하고자, 교육으로 나라를 세우고, 교육으로 나라를 융성하게 일으키자는 일념으로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민립 학교다"라면서 "앞으로도 중앙고에 대해 늘 관심을 가져주고, 많은 격려를 해달라"고 말했다.



채정석(65회) 교우회장은 "구한말 일제의 침략기에 신학문을 통한 교육구국· 교육입국의 취지로 우국지사들에 의해 설립된 중앙고는 독립 운동의 산실이었다"며 "지난 115년 동안 각계각층에서 활약하는 수많은 인재를 배출해내며 명문사학으로서의 위상을 지켜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新학맥]⑦LG·효성·경방 창업주에서 이어진 재계인맥 산실 '중앙고'



소종섭 트렌드&위켄드 매니징에디터 kumkang21@asiae.co.kr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