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독]국회, 내일 ‘후쿠시마 현장시찰단’ 긴급현안질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뉴스듣기 글자크기

정무위 17일 오전 후쿠시마 긴급현안질의
범부처 TF 총괄하는 국무조정실 불러 집중질의

국회가 내일(17일) 오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현장시찰단과 관련해 총리실 국무조정실을 대상으로 긴급현안질의를 실시한다. 한일 양국간에 조율중인 시찰 범위와 항목 등에 대해 설명을 듣고, 일본정부로부터 공유된 오염수 방류 정보를 듣는다는 취지다.


16일 국회에 따르면 정무위원회는 박구연 국무1차장 등 국무조정실을 대상으로 긴급현안 질의를 한다. 내일 오전 10시께 박민식 초대 국가보훈부 장관 인사청문회 실시 보고서 건을 처리한 뒤, 후쿠시마 대응과 관련된 긴급현안질의를 하는 순서다.


이번 긴급현안질의는 후쿠시마 방문 전 사전현안질의 성격이다. 23일부터 시작되는 현장시찰단 방문 이후에는 사후 현안질의도 진행한다. 방문규 국무조정실장은 사후 현안질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내일 회의에선 범부처 차원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대응을 총괄해온 국무조정실 주도 태스크포스(TF)가 입수한 정보와 관련된 질문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후쿠시마 현장시찰단의 성격과 범위, 안전성 검토의 세부 내용에 대한 점검과 평가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 관계자는 “사안이 위중한 만큼 여야 간사합의와 위원장의 의사결정으로 긴급현안질의 일정을 급박하게 잡게 됐다”면서 “반드시 시찰을 해야 하는 점검 항목들을 국회 차원에서 당부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단독]국회, 내일 ‘후쿠시마 현장시찰단’ 긴급현안질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한·일 양국은 한국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시찰단 파견과 관련해 오는 23~24일을 포함한 3박4일 일본 방문 일정에 합의했다. 그러나 한·일은 한국 시찰단의 성격에 대해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쟁점은 우리시찰단의 검증범위다. 한국 시찰단의 활동이 ‘시료 채취’ 등 자체 검증이 아닌 오염수 정화시설과 방류 전체 과정을 직접 보고 오는 ‘현장 확인’에 가까운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시료 채취를 통한 분석을 진행 중이며, IAEA 검증 태스크포스(TF)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의 김홍석 박사가 포함돼 사실상 한국이 시료 채취 분석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단독]국회, 내일 ‘후쿠시마 현장시찰단’ 긴급현안질의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한 차례 정화한 뒤 원전부지 내 물탱크에 보관해왔다. 그러나 이 물탱크가 '곧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일본 측은 2021년 4월 후쿠시마 원전 내 오염수 처분 방식으로 해양 방류를 결정했다.



IAEA는 이달 초 중간 보고서를 통해 오염수 검증 결과 ‘문제없음’이라고 밝혔다. 일본 규제당국의 방사성 핵종 점검 대상 가운데 주요 핵종이 배제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다음달 쯤 최종 보고서가 나오면 일본은 여름 중 방류할 가능성이 크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