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머니무브’ 속도…요구불예금 회전율 상승세 지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1분기 요구불예금 회전율 17.6회…20년 이후 최고치

‘머니무브’ 속도…요구불예금 회전율 상승세 지속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머니무브’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세계 각국의 긴축기조 등으로 지난해 한때 바닥까지 내려앉았던 은행권의 요구불예금 회전율도 회복세를 이어가는 모양새다.


16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올해 1분기 요구불예금 예금회전율은 월 17.6회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2020년 1분기(월 18.4회)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예금회전율은 예금 지급액을 예금 평균 잔액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예금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가계가 소비나 투자를 위해 은행에 맡긴 돈을 인출하는 경우가 많았음을 나타낸다. 그런 만큼 자금이 얼마나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는지는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


국내 예금은행의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2019년 4분기 19.2회를 기록한 이후 여러 국내외 악재로 하락세를 거듭해 왔다.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분기 18.4회를 기록한 이래 줄곧 하락세가 이어졌고, 지난해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가파른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자산시장 침체로 3분기 당시 역대 최저치인 14.3회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하지만 긴축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다소 높아지는 양상이다. 지난해 4분기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7.1회로 2020년 2분기와 동일한 수준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12월엔 상대적으로 높은 예금 금리와 자금 소요가 많은 계절적 특성까지 겹쳐 월간 기준으로 19.9회를 기록하기도 했다.


올해 들어서도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월 17.9회, 2월 16.8회로 하락세를 보이다 3월엔 다시 18.2회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1분기 예금지급액은 (회전율이 최저 수준이던) 3분기 대비 크게 늘었다”면서 “코로나19 이전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지만 나름대로 자금 수요가 회복되고 있는 흐름을 보인다”고 말했다.


예금회전율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긴축완화 기대감과 함께 시장금리가 내림세를 타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일례로 한 때 최고 연 3.0%의 금리를 보장하던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케이·토스뱅크) 파킹통장 금리는 최근 2.00~2.60% 수준까지 내렸다. 이는 최근 인기를 끈 발행어음형 자산관리계좌(CMA)의 수익률 2.95~3.60%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해 시중 부동자금을 끌어모았던 정기예금 금리도 상대적인 매력을 잃고 있는 상태다. 최근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단리)를 보면 최고 우대금리 적용기준 3.47~3.56%로 기준금리(3.5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일부 은행의 경우 정기예금 금리가 기준금리 인상 직전인 2%대까지 내려앉기도 했다.


반면 시중자금은 단기금융상품 등으로 쏠리는 양상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CMA 잔액은 연초 대비 13.1% 늘어난 65조7000억원에 달했다. 아직 주식시장이 활황세라고 보긴 어렵지만, 투자자예탁금 역시 연중 저점 대비 16.3% 증가한 50조1500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3월 중순 금융시장을 뒤흔든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도 영향을 줬단 해석이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난 3월 요구불예금 회전율이 확대된 데는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사태로 자금이 안정적이고 수익이 좋은 단기금융상품으로 빠져나간 것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면서 “다만 은행 사태가 연착륙 단계고, 당분간 기준금리 및 예금금리도 약보합세를 보일 예정이어서 (회전율은) 횡보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