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반도체 시장 재편의 최대 수혜국은 대만·베트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국 점유율은 소폭 상승에 그쳐
중국의 틈새 채운 대만·베트남

美 반도체 시장 재편의 최대 수혜국은 대만·베트남
AD

2018년 미중 통상 갈등 이후 중국의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 점유율이 3분의 1 토막났다. 미국이 수입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을 도려내자 생긴 틈을 대만과 베트남이 메웠다. 이 시장 재편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힘을 쓰지 못하고 사실상 구경꾼 역할만 했다는 평가다.



美 반도체 시장 재편의 최대 수혜국은 대만·베트남

9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8~2022년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을 대상으로 주요국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 중국의 점유율 하락(-18.5%포인트)을 기회로 대만(9.7%포인트), 베트남(7.3%포인트)이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며 반도체 생산기지로서 입지를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점유율은 1.8%포인트 상승했지만 상대적으로 그 폭이 미미했다.


미국의 반도체 규제 집중 대상인 중국 점유율은 2018년 30.2%에서 2022년 11.7%로 3분의 1 토막이 났다. 미국이 국가안보 및 자국 공급망 강화를 내세우며 2018년부터 대중 수입 관세 부과 및 중국 기업에 대한 수출 제한 등 다양한 규제를 적용한 영향이다.


미국은 대중 수입에 대해 2018년 3차례에 걸쳐 10~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2019년에도 이 기조를 이어갔다. 같은기간 미국산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직접 이용해 만들어진 부품·장비 등의 대중 수출도 제한했다. 그 여파로 제재를 받은 중국 기업들은 반도체 생산 및 반도체 역량 강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기간 대만의 점유율은 2018년 9.5%에서 2022년 19.2%로 2배로 확대됐다. 2018년만 해도 한국의 점유율이 대만 보다 1.3%포인트 높았지만 최근 대만의 점유율 급상승으로 2022년 한국은 대만 보다 6.6%포인트 뒤쳐지며 양국 간 격차가 확대됐다. 현재 미국 반도체 수입시장의 점유율 1위는 대만이다. 2018년 4위에서 2022년 1위로 오른 대만과는 달리 한국은 2018년부터 3위로 제자리걸음이다. 베트남 점유율은 2.5%에서 9.8%로 뛰어올라 순위가 8위에서 5위로 바뀌었다.



대만과 베트남은 전략적으로 미국의 반도체 최대 수입품목(33.4%)인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중국의 입지 약화를 기회로 점유율을 늘리며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분석된다. '컴퓨터 등의 부품' 영역은 D램 모듈 등 컴퓨터, 하드드라이브 등의 부분품과 부속품을 포함한다. 미국 반도체 수입구조 재편에 핵심 역할을 한 ‘컴퓨터 등의 부품’에서 미국의 대중 수입액은 2018~2022년 96억7000만달러 감소(-58%)했는데 같은 기간 대만 수입액은 75억6000만달러(327%) 증가했고 베트남 수입액 역시 35억1000만달러(4038%) 늘었다. 한국 수입액은 25억8000만달러(52%) 증가하는데 그쳤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