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000원 음식, 배달앱으로 주문하니 6700원…메뉴 절반이 더 비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소비자원, 1061개 가격 조사 결과

6000원 음식, 배달앱으로 주문하니 6700원…메뉴 절반이 더 비싸 메뉴별 가격 차이 현황. [사진제공=한국소비자원]
AD

최근 온라인 음식서비스 시장이 확대되면서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관련 소비자불만도 증가하고 있다.


21일 한국소비자원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에 입점한 서울 시내 34개 음식점의 1061개 메뉴 가격을 조사한 결과 메뉴 2개 중 1개는 매장에서 먹을 때보다 배달로 주문할 때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분식집 12곳과 패스트푸드·치킨 전문점 8곳 등 20개 음식점(58.8%)이 매장과 배달앱 내 음식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고 있었다. 이 중 13개 음식점은 배달 가격과 매장 가격이 다를 수 있다는 내용을 고지하지 않았다.


메뉴별로 보면 1061개 중 541개(51%)의 가격이 차이가 났고, 이 중 529개(97.8%)는 배달 가격이 매장보다 더 비쌌다. 매장보다 배달이 비싼 메뉴의 평균 가격은 6702원으로 매장 가격(6081원)보다 10.2% 더 높았다.


배달앱 중개수수료와 광고비가 오르면 음식 가격 등이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도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소상공인 외식업주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중개 수수료 인상 시에는 49.4%, 광고비 인상 시에는 45.8%가 음식 가격이나 소비자가 부담하는 배달비를 올리거나 음식량을 줄였다고 답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거나 지원하는 공공 배달앱의 경우 서울 시내 배달비는 민간 배달앱과 전반적으로 비슷했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공공 배달비가 더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민간 배달앱(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과 공공 배달앱(대구로·먹깨비·배달의명수·배달특급) 7개의 소비자 종합만족도는 평균 3.52점으로 공공의 만족도가 민간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업체별로는 대구로 3.62점, 쿠팡이츠 3.58점, 배달특급 3.54점, 먹깨비 3.53점 등이었는데 업체 간 점수 차는 오차범위 내였다.



소비자원은 “배달앱 사업자에게 중개수수료와 배달비 조정을 통한 상생 방안 마련을, 외식업 유관 단체에는 배달앱 내 가격 표시 관련 교육 및 홍보 강화를 권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