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미에 '박정희 생가역' 생기나…반대 목소리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이준석 "진영역도 노무현 생가역이라 안해"
윤상현 "둘 다 바꾸자" 역명개정 찬성 주장

[아시아경제 강주희 기자] 경북 구미시가 대구권광역철도사업으로 신설하는 '사곡역'을 '박정희 생가역'으로 이름을 바꾸기로 하면서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박정희 전 대통령 이름을 쓰는 게 적절한지를 놓고 반론이 나오고 있다. 사곡역은 KTX 정차역도 아닌 전철 명인데 전직 대통령 이름을 사용하기에는 격에 맞지 않다는 주장이다.


구미에 '박정희 생가역' 생기나…반대 목소리도 경북 구미 사곡역 조감도./대구시 제공
AD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19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사곡역이 박정희 생가역이 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곡역은 KTX 정차역도 아니고 전철역일 뿐"이라며 "이런 이름을 붙인다는 것은 정말 박정희 대통령을 예우하는 사람이라면 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 생가가 있는 경남 김해 봉하마을 인근 KTX 정차역인 진영역도 '노무현 생가역' 등으로 불리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역 이름에 박 전 대통령 이름을 붙인다고 관광수요나 방문객이 늘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전혀 논리적이지 않다"고 덧붙였다.


반면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은 역명 개정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 의원은 "(이 전 대표가)노무현생가역이 되지 않은 것처럼 박정희생가역도 만들어지면 안 된다고 했는데, 이는 둘 다 하면 안 된다가 아니라 둘 다 하는 방향으로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 최대의 국제공항인 뉴욕 JFK 국제공항은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따왔고, 유럽대륙 최대의 관문으로 통하는 프랑스 샤를 드골 공항도 마찬가지"라며 "우리나라도 국민적 합의만 이루어진다면 전직 대통령의 이름을 역명이나 공항명으로 남기는 일에 인색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구미시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8일까지 사곡역 명칭 변경을 위한 시민 의견수렴 공고를 내고 '박정희생가역'과 '박정희역', '정수역', '새마을역' 등의 의견을 접수했다. 이 중 '박정희생가역'으로 명칭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구미시는 박 전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고, 박 전 대통령 생가 일대를 관광 명소로 조성하는 기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 중이다. 최근에는 박 전 대통령 추모 공간인 숭모관을 새로 건립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번 사곡역명 개정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구미시는 박정희생가역 명칭이 국토교통부 심의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사곡역(박정희생가역)'으로 괄호 안에 병기하는 방안을 역명부기심의위원회에 상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주희 기자 kjh81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