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인車 사고나면, 원격으로 옮긴다" 현대모비스 공동개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돌발상황 시 원격으로 이동
고객센터 역할 수행도 가능
보안 전문가 설립 오토피아
소프트웨어 개발 담당
내년부터 본격 마케팅

"무인車 사고나면, 원격으로 옮긴다" 현대모비스 공동개발 현대모비스가 이스라엘 스타트업 오토피아(Ottopia)와 손잡고 자율주행 원격지원 솔루션 개발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AD

[아시아경제 오규민 기자] 현대모비스는 이스라엘 스타트업 오토피아와 함께 자율주행 원격지원 솔루션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원격지원(Remote Mobility Assistance, RMA) 솔루션은 무인 미래 이동 수단(모빌리티)을 원격으로 이동시키거나 경로를 재수정하는 기술이다. 로보택시 사업자가 운행현황을 보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제어권을 넘겨받는다. 이후 상황실의 관리자가 모빌리티를 제어해 운전자를 안전한 장소로 옮길 수 있다. 과거 국내에 방영한 미국 드라마 전격Z작전의 키트나 영화 미션임파서블의 원격조종 자동차처럼 먼 곳에서 화면 등을 보면서 차량 제어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RMA는 일종의 고객센터 역할도 가능하다. 무인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각각 돌발 상황에 대응하는 고객 서비스망을 구축하면 비효율적이기에 이를 RMA가 보완할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고성능 전자제어장치(ECU)를 기반으로 한 5세대(5G) 통신모뎀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능도 포함될 예정이다.


RMA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은 오토피아가 담당한다. 이스라엘 보안 전문가들이 설립한 오토피아는 무선 업데이트(OTA), 실시간 모빌리티 관리 서비스인 플릿(Fleet) 등을 개발하게 된다. 현대모비스는 RMA 상용화를 통한 고객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들은 로보택시 업체뿐 아니라 무인 모빌리티 운영 물류업체, 건설과 농기계 업체 등을 잠재적 고객군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현대모비스가 지난해 내놓은 중장기 혁신전략 가운데 하나다. 두 회사는 내년부터 RMA 솔루션에 대한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나서기로 했다.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