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ADB, 내년 韓 성장률 2.3%→1.5%…더 어두워진 경제전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내년 물가상승률 3.2% 전망…"세계 경제 둔화·에너지 가격 상승 영향"

[아시아경제 세종=권해영 기자] 아시아개발은행(ADB)이 12일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조정했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등 3고(高) 복합위기 속에 글로벌 금리인상과 경기 둔화로 국내 경기 또한 급격하게 꺾일 걸로 예상되면서 국내외 주요 기관들이 잇따라 1%대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ADB는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을 종전 9월 전망치(2.3%) 대비 하향한 1.5%로 제시했다. 석 달 만에 성장률을 0.8%포인트 내려잡은 것이다. ADB는 4월 연간전망을 발표하고, 이후 7월·9월·12월 세 차례에 걸쳐 보충·수정 전망치를 내놓는다.


ADB는 경제전망치를 하향조정한 이유로 세계 경제 둔화,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대외 부문이 약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1.7%), 한국개발연구원(KDI·1.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에 이어 ADB까지 1%대 성장률을 제시하게 됐다.


한국의 내년 물가상승률 예상치는 3.2%로 상향했다. 직전 전망치 대비 0.2%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6%로 유지했고, 물가상승률은 유가·식품물가 상승 등을 반영해 종전 전망치 대비 0.6%포인트 올린 5.1%로 제시했다.


ADB, 내년 韓 성장률 2.3%→1.5%…더 어두워진 경제전망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 개도국(46개국)의 성장률은 올해 4.2%, 내년 4.6%로 예상해 직전 전망치 대비 각각 0.1%포인트, 0.3%포인트 낮춰잡았다. 물가 상승률은 올해는 0.1%포인트 하향한 4.4%, 내년은 0.2%포인트 올린 4.2%로 제시했다. 에너지·식품 물가 상승 탓으로, 우크라이나 사태 이전에 비해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ADB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역내 국가의 성장률을 하향하며 ▲중국 경기 둔화 ▲우크라이나 사태 영향 ▲세계 경제 침체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ADB는 "중국 경제는 코로나19 봉쇄로 인해 가계 소비 회복이 제한되고 부동산 시장의 불안이 경제 회복에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며 "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불안정성 확대로 인한 공급 충격, 세계경제 둔화 영향으로 수출 등 아시아 주요국 대외 부문이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가 이어지면서, 아시아 역내 금융시장 여건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며 주요국의 긴축도 세계 경제 하방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