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NLL 넘긴 北 미사일의 정체, 소련 때 만든 'SA-5 지대공미사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소련 시절 만든 구형 지대공미사일
지대지로 발사해 탄도탄으로 추정
요격체계 혼란 또는 재고 소진 의도

NLL 넘긴 北 미사일의 정체, 소련 때 만든 'SA-5 지대공미사일' 9일 국방부에서 북한 미사일 잔해물 추정 물체를 공개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장희준 기자] 북한이 분단 이래 처음으로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겨 쏜 미사일은 옛 소련이 만든 SA-5 미사일로 드러났다.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구형 미사일인 데다 바다에서 건져 올린 동체에 러시아어가 박혀 있어 북한이 옛 소련 시절 들여온 무기로 추정된다.


기존의 용도와 다르게 미사일을 발사한 탓에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로 잘못 관측됐는데, 일각에선 우리 군의 요격체계에 혼란을 주려 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군 당국은 북한의 의도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의도적인 도발'이라는 점을 강력히 규탄했다.


국방부는 북한이 지난 2일 동해 NLL 이남으로 쏜 미사일 잔해물을 인양해 분석한 결과, SA-5 미사일로 판명됐다고 9일 밝혔다. 앞서 군은 문제의 미사일이 속초 앞바다에 낙탄하자, 해군을 투입해 인근 해역을 수색해 왔다.


군이 지난 6일 인양한 잔해물은 SA-5 미사일의 후방 동체로, 대략적인 규격은 길이 3m에 폭 2m, 직경 0.8m로 측정됐다. 주날개 4개와 함께 동체 내부에서 액체연료통, 엔진 및 노즐의 일부 잔해가 발견됐다. 획득 장비 일부에는 러시아어 표기가 선명히 박혀 있다.


러시아명으로 'S-200'이라 불리기도 하는 SA-5 미사일은 항공기를 격추하는 지대공미사일로 개발됐으나, 지대지미사일로도 사용할 수 있다. 1960년대 소련이 개발한 미사일로 길이 10.7m에 탄두 중량은 217㎏에 달한다. 전 세계적으로 북한과 러시아를 비롯한 최소 12개국에서 사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NLL 넘긴 北 미사일의 정체, 소련 때 만든 'SA-5 지대공미사일' 미사일 잔해물 [사진제공=국방부]

이날 공개된 잔해물엔 시리얼 넘버와 함께 러시아어로 제원 등이 표기돼 있었다. 다만 북한이 러시아에서 직접 들여온 것인지, 제3국에서 수입한 뒤 개량을 거친 것인지는 확인이 어렵다. 군 관계자는 "북한은 과거 소련에서 개발한 무기를 다양하게 도입해 운용해왔다"며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이 러시아제라고 단정 짓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당초 군은 이 미사일을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로 추정했다. 그러나 SA-5 미사일의 실체가 드러나며 지대공미사일을 지대지미사일로 발사한 북한의 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군 당국은 우리 측에 대한 의도적인 도발이 명백하다는 입장이다. 표적을 지나치면 자폭하게 돼 있는 지대공미사일을 남쪽으로 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북한이 우리 군의 요격체계에 혼란을 주기 위해 기존의 방식과 용도에 변화를 준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SA-5 미사일이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구형 미사일이라는 점도 의문이다. 북한이 최근 사용하는 탄도미사일은 고체연료를 쓴다. 이를 두고 북한이 신형 탄도미사일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구형탄을 소진하려 한 건 아닌지, 혹은 구형 미사일을 써야 할 만큼 미사일 재고가 부족해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SA-5 미사일 발사는 계획적으로 의도된 도발이 분명하다"며 "우리 군은 한반도 긴장을 고조시키고 '9·19 군사합의'를 위반한 북한의 이번 미사일 도발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군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한미동맹의 압도적 능력으로 단호하게 대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