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낡은 산업단지 확 바꾼다…디지털화·저탄소화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정부, 낡은 산업단지 확 바꾼다…디지털화·저탄소화 추진
AD

[아시아경제 세종=이동우 기자] 정부가 산업단지 개혁을 위해 디지털·저탄소화를 확충한다. 도로·주차장·공원 등 기초 인프라와 문화센터 등을 구축해 청년 근로 환경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을 공개했다.


산단은 작년 말 기준 전국 1천257개로 11만여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한국 제조업 생산의 63%(1104조원), 수출의 66%(4024억달러), 고용의 47%(227만명)를 담당하고 있다. 반면 최근 산업단지는 산업시설, 기반시설, 근로인력의 이른바 ‘삼로(三老)’ 현상과 함께 생산 및 고용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어 새로운 성장동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정부는 이에 산단의 디지털화, 저탄소화, 근로·정주 여건 개선, 안전 강화, 입지 규제 혁신 등 5대 분야, 83개 정책 과제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정부는 산단 입주 기업의 94%가 50인 미만의 중소기업인 점을 고려해 입주 기업의 디지털화 준비 수준을 진단하는 프로그램 시행을 추진한다. 산단별 특성에 맞는 탄소 저감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단 내 수출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확산, 사업 재편 지원, 자원의 재이용 촉진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산업단지의 탄소배출을 낮추기 위해 탄소 감축 기술 개발에 나서는 한편 에너지 연료의 친환경화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산단을 만들기 위해 저렴한 창업 공간 제공, 제조기업 매칭 지원, 청년 일자리 경험 프로그램 제공, 특화 교육 실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브랜드산단 조성과 미래형 융복합공간 조성, 도로·주차장·공원 등 기초 인프라 확충 및 정비, 탄력적 교통수단 도입, 복합문화센터도 건립한다. 산단 내 안전사고에 대해서도 다양한 정책 과제를 마련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산단 관리제도 등을 백지상태(제로 베이스)에서 전면 재검토한다. 산단 시설 혁신에 민간 자본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고, 산단 용지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산단 대책은 곧 우리 제조업 전체의 성장 전략이자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산단만이 가질 수 있는 장점과 본연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산단과 입주기업이 스스로 변화해 나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정책의 근간"이라고 말했다.




세종=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