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나경원 불출마?…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 여전히 안갯속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이준석 리스크' 털고 정진석, 전당대회 일정 본격화 할 듯
나경원, 부위원장 맡았지만 출마 가능성 열어놔
유승민, '이준석 돌풍' 재현할까
김기현·안철수·주호영 등 당내 신경전 치열

나경원 불출마?…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 여전히 안갯속
AD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자리를 놓고 후보들 간 신경전이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준석 리스크'를 털어 낸 정진석 비대위원장은 전당대회 준비 등을 위해 전국을 돌며 현장 비대위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전당대회 시기, 룰 등이 보다 구체화 되면 후보군은 추려질 수 있겠지만 다음 당대표는 공천권을 쥐게 돼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차기 당대표로 꼽히는 원내 후보로는 김기현·안철수·윤상현·조경태·주호영 의원,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거론되고 있다. 원외 후보는 유승민·나경원 전 의원 등이 언급된다.


원외 후보들이 원내 후보들보다 더 인기다. 유 전 의원과 나 전 의원 모두 최근 여러 여론조사에서 높은 지지율을 얻고 있다.


나경원 전 의원은 전날 장관급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이를 놓고 사실상 당권 경쟁에서 멀어진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지만, 부위원장직이 비상근직이기도 해서 출마 여부는 아직 열려 있다. 나 부위원장은 통화에서 "전당대회에 대해서는 아직 얘기한 바 없다. (전당대회를 부위원장 임명과) 연관시켜서 검토할 문제는 또 아닌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아직 출마를 직접적으로 언급한 바 없다. 그러나 지지율 여론 조사에서 당대표 적합도 1위를 달리고 있어 출마 여부가 주목된다.


일각에서 이준석 전 대표가 당선될 때처럼 '유승민 돌풍'이 불 것이란 예상도 나왔다. 천하람 국민의힘 혁신위원은 BBS라디오 인터뷰에서 "TK 에서도 유승민 전 의원에 대한 지지가 높아진다"면서 "유승민 의원 같은 개혁적인 보수, 유능한 보수가 당을 이끄는 게 낫지 않겠느냐 하는 그런 판단을 하는 국민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이 대표가 당대표가 됐을 때 나타났던 초기 현장 같은 것들이 보이는 것 같다"면서 "당시에도 보수 지지층 사이에서 이준석 대표에 대한 애정이라든지 꼭 이준석이어야 되겠다 이런 게 아니었다. 이준석을 당대표로 뽑는 것이 다음 선거에 유리하겠다고 하는 전략적 판단들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경원 불출마?…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 여전히 안갯속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미디어, 미래를 위한 개혁" 大토론회에 참석,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윤동주 기자 doso7@

나경원 불출마?…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 여전히 안갯속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내 후보들은 대부분 이미 당대표 출마를 사실화했다.


안철수 의원은 자신의 출마를 알리며 지난 11일 "유승민, 나경원 두 분 모두 (전당대회에) 출마하시길 희망한다"며 자신의 중도 확장성을 강조했다. 김기현 의원은 이런 메시지를 낸 안 의원을 겨냥해 "총선 승리라는 지상목표를 공유하고 계신 안 의원의 대선 불출마 선언도 기대하겠다"며 압박했다.


원내대표를 맡은 주호영 의원도 당대표 후보로 언급된다. 주 원내대표는 앞서 원내대표 선거에서 권성동 전 원내대표 임기까지만 직을 수행하기로 했는데 이를 두고 차기 당대표 출마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통일부 장관직을 맡은 권영세 의원은 최근 부상하고 있는 인물로 당내 대외협력위원장을 맡으며 윤석열 대통령을 국민의힘에 입당시키기도 했다.


전당대회 개최 시기·당원 비율 반영 등 당락 좌우

앞으로는 비대위에서 결정되는 전당대회 시기와 룰이 후보들의 출마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대 시기가 늦어질수록 주 원내대표의 경우 권 전 원내대표의 잔여 임기를 모두 마치고 당대표에 도전할 명분을 얻게 된다. 권 장관이나 나 부위원장의 경우도 임기를 수행하면서 출마 기회를 엿볼 수 있다.


룰의 경우 국민의힘 당헌 제26조 2항을 보면 당 대표의 선출은 선거인단 유효투표 결과(당원 비율)를 70%, 일반 여론조사 결과(국민 여론) 30%를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지난 전당대회에서 당원 투표에서 1위를 차지했던 나 부위원장이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이준석 전 대표에 크게 뒤져 결국 패배한 바 있다.



최근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역선택 방지 조항 등을 넣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당원 비율을 70%에서 80%까지로 확대하려는 분위기가 점쳐지고 있다. 대중적 지지를 얻고 있는 안철수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에는 불리한 조항이지만 당심의 지지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 김기현 의원, 권영세 장관 등에는 유리할 전망이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