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독]대통령실, CI 개발사 선정 마무리… 연내 대국민 공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통령실, 평창올림픽 상징 개발사와 전날 계약 체결… 사전 논의 마무리 단계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 임명 전까지 난항… "새 시대 의미 담은 상징물 선보일 것"

[단독]대통령실, CI 개발사 선정 마무리… 연내 대국민 공개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16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 모습. 윤 대통령은 권위주의 청산을 내세우며 국정 무대를 기존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옮겼다. 대통령의 집무실이 용산으로 이전되면서 청와대는 국민들에게 완전 개방했다./
AD

단독[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용산 대통령실을 상징하는 CI(Corporate Identity)가 연내 공개된다. 대통령실 CI 개발은 2015년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의 공식 상징물과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메인 상징 조형물을 제작한 업체가 맡기로 했다. 새 정부 출범 후 청와대에서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옮기고 새 CI를 만들겠다고 나선지 넉 달여 만으로 사전 논의 단계는 상당 부분 진행된 상태다.


29일 대통령실과 정부부처 등에 따르면 대통령비서실은 전날 전시·디자인 전문업체인 피앤과 '대한민국 대통령실 상징체계 개발'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CI 개발 계획이) 당초보다 계약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됐다"며 "용산 이전에 따른 새 시대의 의미를 담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상징물을 만들어 최대한 빨리 국민들께 선보일 방침"이라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6월 대통령 취임식 이후 사용했던 태극 문양 엠블럼 대신 '용산 시대 대통령실'만의 정체성을 부여하고자 독자적인 CI 개발에 나섰다. 청와대 명칭과 로고를 폐지해 용산 시대, 새 정부 시대에 국민들과 소통하겠다는 의미를 담은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CI 개발을 맡아줄 업체를 최종 선정하는 작업이 지연됐다. 개발에 참여하겠다는 업체들의 제안서를 받아 대통령실 관계자가 참여한 평가위원회에서 우선협상대상자를 조기에 선정했지만 세부 조율 작업에만 두 달이 넘게 소요됐다. 내부적으로는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의 부재도 변수가 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초에야 이기정 YTN 선임기자를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임명했다.


대통령실 CI 개발을 책임질 피앤은 나머지 경쟁업체들에 비해 가격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막판까지 경쟁을 벌인 업체는 서울시가 박원순 전 시장 때 만든 브랜드 '아이·서울·유(I·SEOUL·U)'를 제작한 시디알어소시에이츠로 품질 평가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후 서울시가 해당 브랜드를 폐지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대통령실 CI 개발사 선정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피앤은 과거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공식 상징물과 평창동계올림픽 메인 상징 조형물을 제작한 경험을 내세웠다. 국내 전시·디자인업계 최초로 엑스포 해외국가관 전시관 설치 사업을 수주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대통령실은 해당 업체와 이미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 만큼 연말 이전에 국민들에게 새 정부의 상징성을 공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새 CI에는 단순 건물을 상징하는 의미 대신 집무실을 대표하는 이미지, 윤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운영 방향 등을 담아낼 계획이다. 김영삼 정부 시절 만들어져 사용돼 왔던 청와대 엠블럼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차별화' 명목으로 수차례 수정 작업을 거쳤지만 청와대를 상징하는 본관 건물의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한데다 딱딱한 서체 역시 크게 바뀌지 않아 낡고 권위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는데 한계를 보여왔다.



새 CI를 제작하는 데 투입되는 비용은 당초 대통령실이 잡아놓은 비용보다는 다소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통령실 이전 여파로 인한 추가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야권은 '당초 쓰지 않아도 되는 세금'이 사용됐다는 지적을 펼 것으로 보인다. 용산 대통령실 인근 새 영빈관 건립을 놓고 윤 대통령이 '계획 전면 철회'를 지시했지만 여야는 아직도 공방을 벌이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소통하는 열린 대통령실 구현을 위해 집무실 이전을 결단한 만큼 국민과 단절됐던 기존 청와대 공간과 상징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제왕적 대통령의 잔재를 철저히 청산해야 한다는 것은 대통령의 공약이었다"고 설명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