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구본 닮은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 최초 공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학계에 알려진 바 없는 희귀 유물, 미국 경매서 매입
두 개의 반구 맞물려 어느 지역에서나 시간 측정

지구본 닮은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 최초 공개
AD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구형(球形) 휴대용 해시계가 베일을 벗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지난 3월 미국 경매에서 매입한 '일영원구(日影圓球)'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하는 환수문화재 특별전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을 통해 19일 공개된다.


높이 23.8㎝, 구체 지름 11.2㎝의 일영원구는 학계에 알려진 바 없는 희귀 유물이다. 일반적인 해시계인 '앙부일구(仰釜日晷)'는 반구 형태. 태양의 그림자를 통해 시계를 확인하는 영침(影針)이 고정돼 있다. 오로지 한 지역에서만 시간이 측정된다. '일영원구'는 둥근 공 모양인 원구 형태다. 두 개의 반구를 맞물려 어느 지역에서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전문가 견해에 따르면 측정 방법은 ▲수평 맞추기 ▲방위 측정 ▲위도 조정 ▲시간 측정 순이다. 한쪽 반구에 명문 12지와 세로선 아흔여섯 칸으로 시각이 표시됐다. 하루를 12시 96각으로 표기한 조선 후기 시각 법이 반영됐다. 정오 표기 아래에는 둥근 구멍(시보창)이 있다.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다른 쪽 반구를 움직이면 시간이 표시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자격루와 혼천시계에도 12지로 시간을 나타내는 시보 장치를 뒀다"라며 "조선의 과학기술을 계승하는 한편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하도록 새로이 고안한 유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지구본 닮은 휴대용 해시계 '일영원구' 최초 공개


일영원구는 일본에 주둔했던 미군 장교의 유족이 보관해오다 개인 소장가에게 넘어갔다. 지난 3월 경매에 나와 환수할 수 있었다. 문화재청은 제작 시기와 제작자까지 확인하고 입수에 착수했다. 한쪽 반구에는 '대조선 개국 499년 경인년 7월 상순에 새로 제작하였다'라는 명문과 함께 '상직현 인'이 새겨져 있다. 1890년 7월 상직현이라는 인물이 제작했다는 의미다.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등에 따르면 상직현은 총어영 별장, 별군직 등으로 임명돼 국왕 호위와 궁궐·도성 방어를 맡았던 무관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