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9년째 반지하 생활만 했는데"…지상은 ‘꿈’ 막막한 20만 주민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울 시내 반지하 주택 20만 가구 달해
안전·보안에도 취약, 노인층 가점 인상 요청도

"9년째 반지하 생활만 했는데"…지상은 ‘꿈’ 막막한 20만 주민들 16일 서초구 방배동의 한 반지하 집. 집이 비좁아 밥솥, 식기들이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는 모습./사진=장세희 기자 jangsay@
AD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 유병돈 기자]"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지금까지 총 9년 동안 반지하에 살았어요. 정부 지원이 있더라도 지상으로 가기엔 아무래도 힘들 것 같습니다."


서울 서초구 방배동 다세대주택 반지하에 사는 이선영씨(23)는 "높아지는 보증금과 이사비도 걱정"이라며 "당장 현금 지출을 해버리면 생활비로 쓸 돈이 없다"라고 푸념했다.


16일 만난 반지하 주택 주민들은 정부 지원이 일부 있더라도 나머지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호소했다. 이씨는 "지상에 다섯 식구가 모여 지낼 수 있으려면 최소한 현재 가격의 두 배는 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현재 방배동 반지하 집 평균 시세는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40~60만원 선이다. 서울 시내 반지하 주택은 2020년 기준 20만849가구에 달한다.


이씨는 서울시가 내놓은 반지하 주택 불허 계획을 듣고 마음이 덜컥 내려앉았다. 그는 "반지하에 사는 사람들은 경제력이 없어 거주하는 것인데, 무작정 없앤다고 하니 걱정이 앞선다"라고 말했다.


안전·보안에도 취약한 '반지하'…"한 번 반지하 들어서면 헤어 나올 수 없어"

"9년째 반지하 생활만 했는데"…지상은 ‘꿈’ 막막한 20만 주민들 16일 서초구 방배동의 한 반지하 집. 외부에서 집을 들여다볼 수 있어 급한 대로 뽁뽁이를 붙인 모습./사진=유병돈 기자 tamond@


이들의 주거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외부에서 안방과 베란다가 모두 보이는 등 안전·보안에도 취약했다. 반지하 특성상 채광과 환기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었다. 그나마 해가 들어오는 창들도 보안을 위해 모두 막아놓았다. 이씨는 "워낙 습하다 보니 곰팡이도 많이 핀다. 가족끼리 큰소리로 얘기하면 지나가던 사람들이 쳐다보기도 한다"라고 전했다.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50만원인 반지하에 사는 장모씨(69)는 "남편이 다니던 회사가 잘못돼 이사를 한 것"이라며 "한 번 반지하에 들어서니 헤어 나올 수 없었다. 현실적으로 지상으로 이동하게 되면 보증금이 높아질 텐데 지금도 소득이 없어 버거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식탁 하나 놓을 곳 없을 정도로 집이 비좁아 바닥에서 불편하게 식사를 하고 있다"며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인들에게는 주택 공급 시 가점을 높이는 등의 배려가 있었으면 한다"고 바랐다.


지상층은 '꿈'…보증금·월세비·이사비 걱정에 막막

지난 주 폭우 당시 침수 피해가 막심했던 신대방동에서 살고 있는 황영미씨(31)는 "내가 사는 곳까지는 빗물이 많이 흘러들어오지 않아 다행히 피해는 보지 않았다"라면서도 "그래도 출퇴근길에 초토화된 동네를 보면 나도 피해를 볼 수 있었다는 생각에 아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황씨는 "반지하의 단점이나 위험성을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한 푼이라도 아끼려면 어쩔 수 없다"라면서 "정부에서 월세 20만원을 지원해 준다고 해서 선뜻 집을 옮길 사람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당장 나부터도 이사를 안 갈 것 같다"라고 말했다.


신림동에 사는 양모씨는 "뉴스에 나온 다른 집만큼은 아니지만 허리 정도까지 물이 차는 바람에 아직도 집에서 생활을 못 하고 있다"라면서도 "직접 피해를 겪고 나니 이사를 가고 싶지만 당장은 보증금 문제도 있고, 쉽게 집을 옮기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는 "지상으로 옮기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다"면서도 "반지하에 비해 지상층은 보증금이나 월세나 다 비싸지기 때문에 고민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신대방역 주변인 관악구 신림동 일대 부동산 시세를 확인해 본 결과, 반지하 원룸의 경우 보증금 100만~500만원에 월세는 35만원 안팎 수준에 형성돼 있었다. 같은 건물의 지상층은 월세가 5만~10만원가량 더 비쌌다. 또 일반적인 지상층이나 투룸 정도의 매물은 보증금이 1000만원 이상대로 훌쩍 뛰고, 월세 또한 40만원 이상이었다.



신대방동에서 한 원룸을 운영하는 백모씨는 "우리 집에만 반지하 세대가 두 곳인데, 매달 월세 수입이 60만원"이라면서 "반지하 거주를 다 없애버리면 나만 해도 매달 60만원의 수입이 없어지는 셈인데 이런 부분들은 어떻게 보상할 것인가"라고 비판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