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움츠리는 기업들…고용한파 온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인플레로 임금 인상 요구 커져…기업 경기침체 우려로 고용 포기

움츠리는 기업들…고용한파 온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1일 "가까운 시일 내에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꽤 있다"며 "앞으로 3개월 동안 전체 직원 수의 3~3.5%를 감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 제공= 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에 따른 각국의 고강도 긴축이 고용 시장에도 한파를 불러 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근로자들이 물가 상승에 따른 임금 인상을 주장하고 있지만 기업들은 경기침체에 대한 공포에 적극적인 감원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기업들은 벌써부터 구조조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1일(현지시간) 채용 정보 사이트 인디드의 최근 몇 주간 구인 건수가 감소한 점을 지적하며 "경기침체 공포에 고용주들이 조용히 채용 계획을 줄이고 있다"고 전했다. 채용 컨설팅 업체 콘페리의 데이비드 비드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오직 최고경영자(CEO)만이 승인할 수 있다는 등의 은밀한 방식으로 채용을 줄이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로 이날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블룸버그통신이 주최한 카타르경제포럼에서 "가까운 시일 내에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꽤 있다"며 "앞으로 3개월 동안 전체 직원 수의 3~3.5%를 감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양대 고용주인 아마존과 월마트도 최근 시간제 근로자 수를 줄여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근로자들은 치솟는 물가에 임금 인상을 주장하고 있어 전 세계 곳곳에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BBC에 따르면 이날 영국 철도노조는 7%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33년 만에 최대 규모의 파업에 돌입했다. 사측은 코로나19 이후에도 승객 수가 예전에 비해 적기 때문에 노조의 인상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며 최고 3% 인상을 제시하며 맞서고 있다.



노동 시장에 대한 연구로 2010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크리스토퍼 피사리데스 런던정경대 교수는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더 많은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고용 시장은 1970년대보다 더 나쁘다"며 "기술 발달에 따른 자동화에 더해 전 세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직면해 있다"고 지적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