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광화문·강남·대학가 상권이 주택가 보다 '팬데믹 민감도' 높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울시 1482개 상권 대상으로 감염병 팬데믹 취약성 진단
외곽에 위치한 상권이나 중심상권에 인접한 신생 상권은 팬데믹에 대한 적응력 낮아

광화문·강남·대학가 상권이 주택가 보다 '팬데믹 민감도' 높았다 서울시 상권별 감염병 팬데믹 취약성 지수 지도
AD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외부 인구 유입이 많은 상권은 감염병 팬데믹에 민감한 반면 주택가 소규모 상권은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외곽 상권이나 중심 상권에 인접한 골목상권은 감염병 팬데믹에 대한 적응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상권별 감염병 팬데믹 취약성 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에 보다 취약한 상권을 분석하고 상권 특성에 따른 맞춤형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이뤄졌다. 재단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1482개 상권을 대상으로 감염병 팬데믹 취약성 지수를 구축했다.


분석 결과 인구 유입이 많은 상권은 감염병 팬데믹에 민감했으나 주택가 소규모 상권은 상대적으로 덜 민감했다. 광화문, 강남 테헤란로 등 직장인 유동인구가 많은 업무지구와 대학가 상권, 역세권 상권이 은평구, 강서구, 양천구 등의 주택가 상권에 비해 감염병 팬데믹에 민감한 상권으로 나타났다.


서울 외곽 상권이나 중심 상권에 인접한 골목상권은 감염병 팬데믹에 대한 적응력이 낮았다. 적응력이 낮은 상권은 서울 외곽에 퍼져 있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와 더불어 중심 상권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생겨난 망리단길과 같은 골목상권도 팬데믹 적응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재단은 민감도와 적응력을 종합해 감염병 팬데믹 취약성 지수를 구축한 결과 감염병 팬데믹에 취약한 상권은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서울 전역에 퍼져 있다고 판단했다. 특히 역세권 상권 중에서는 연신내역?신림역?미아역?천호역 등이, 대학가 상권 중에서는 홍대?신촌?이대?성신여대?대학로?건대입구 등이, 해외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상권 중에서는 명동?경복궁?이태원 등이 감염병 팬데믹에 보다 취약한 상권이라고 분석했다.


재단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병 팬데믹에 취약한 상권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면서 동시에 선제적으로 상권 면역력을 강화하는 예방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감도 감소를 위해서는 상권 단위 방역체계 구축, 환기 시설 설치 지원 등의 정책을 제안하고 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경영 노하우 확산, 디지털 전환 촉진, 상인 네트워크 형성 촉진 등의 대응방안을 제안했다.



주철수 서울신용보증재단 이사장은 “상권별 특성과 상황에 맞게 상권의 위기대응 역량을 키우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연구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극심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돕고 나아가 상권 자생력 강화를 위한 정책 추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