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회복 더딘 경제활동참가율…한은 "코로나 이전 수준 하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제활동참가율 충격…외환위기-금융위기 중간 수준

회복 더딘 경제활동참가율…한은 "코로나 이전 수준 하회" (자료제공=한국은행)
AD

코로나19 이후 취업자수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활동참가율은 아직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당폭 하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에 따른 경제활동참가율 순환변동의 크기는 -1.2%포인트로, 금융위기(-0.7%포인트)와 외환위기(-1.8%포인트)의 중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활동참가율 순환변동은 장기 추세 대비 변동폭을 나타내는 것으로, 통상 0.5%포인트 내외의 진폭을 보이지만 경제위기시에는 1~2%포인트 정도로 변동폭이 확대된다.


특히 이번 코로나19 상황에서는 과거 경제위기와 달리 경제활동참가율 충격이 크게 나타나 회복 경로의 중요성이 커지는 분위기다.


성별·연령대별로는 코로나19 이후 여성과 청장년층의 경제활동참가율 충격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위기별 회복경로를 보면 경제활동참가율은 경제위기시 공통적으로 취업자수에 비해 회복 속도가 더뎠다. 외환위기 당시에는 취업자수가 31개월 만에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반면, 경제활동참가율은 52개월 이후 회복 모습을 보였다. 금융위기 때도 취업자수는 16개월, 경제활동참가율은 31개월 이후 회복됐다.


코로나19 이후 경제활동참가율 변동요인을 보면 2020년에는 유출입 요인이 부진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나 지난해에는 순환 요인의 기여도가 유출입 요인 수준까지 확대됐다.


노동시장 전반의 고용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고용률 순환 요인을 경제활동참가율과 실업률 요인으로 분해해 보면 코로나19 이후 실업률은 추세를 회복했으나 경제활동참가율의 추세 회복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평가됐다.


고용률 순환 요인은 경제활동참가율 순환 요인과 실업률 순환 요인을 합친 것으로 평가된다.



황수빈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과장은 "과거 경제위기 패턴에서 볼 때 고용률이 위기 이전 추세를 회복하는 데는 좀 더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경제위기시 경제활동참가율은 실업률보다 늦게 추세를 회복하면서 고용회복을 지연시키는 경향이 있고 미국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