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중갈등 핵심은 데이터…DJI, 제2의 화웨이 될 듯"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미중갈등 핵심은 데이터…DJI, 제2의 화웨이 될 듯"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미중 과학기술 패권 전쟁이 치열한 가운데 중국 최대 드론 기업 DJI가 '제2의 화웨이'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9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가 DJI를 투자 블랙리스트에 포함했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할 수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미국 정부 안에서 DJI의 드론이 수집한 정보가 중국 정보당국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DJI 제재 수위가 점차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 정부는 이번 조치에 앞서 두 차례나 DJI에 대해 제재를 부과했다.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행정부는 중국산 드론과 부품의 군용 구매를 금지했으며 2020년에는 상무부가 미국 회사의 부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제재 리스트에 DJI를 포함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의 10월 발표에 따르면 DJI의 미국 드론 시장 내 점유율은 50%가 넘는다. 블룸버그통신은 "미중 간 전략적 경쟁의 중심에는 '데이터 전쟁'이 자리하고 있는 가운데 DJI가 미국에서 높은 시장 지배력을 가지면서 미 정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했다.


일각에선 DJI 드론의 사용자들이 수집한 각종 민감한 정보가 중국 정보당국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을 것이란 의심이 제기된다. 자동차에서부터 요가 매트까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들이 수집해 내보내고 있는 개인정보를 적국이 입수해 분석하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DJI에 대한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화당의 톰 코튼과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연방기관의 DJI 드론 구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으며,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도 유사한 내용의 별도 법안을 내놓았다.



브랜던 카 FCC 집행위원은 지난 10월 DJI를 '하늘을 나는 화웨이'라고 지칭하면서 "DJI의 소프트웨어 앱은 드론 운영자의 방대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며 이를 중국 당국이 이용할 수 있다. FCC는 DJI 제품의 승인 금지 방안을 검토할 것을 촉구했다"고 했다.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