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두뇌 통제 무기 개발"…美 34개 中기업 블랙리스트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두뇌 통제 무기 개발"…美 34개 中기업 블랙리스트에 (사진출처:AFP)
AD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생명공학 기술을 인권 탄압과 군사적 목적에 사용하고 있다며 중국 정부기관과 기업에 무더기 제재 조치를 내렸다. 중국 인권 탄압을 이유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데 이어 중국 신장산(産)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처리하는 등 대중 포위망 강화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미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의학연구원을 비롯한 산하 11개 연구소 등 34개 중국 기관과 기업을 수출 제재 목록에 올렸다. 미 상무부는 이들 기관이 신장 위구르족 인권 탄압과 군사적 목적을 위해 두뇌 통제를 포함하는 무기 개발에 관여했다고 밝혔다.


미 상무부는 두뇌 통제를 포함하는 무기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언급하지 않았지만, 군사적 목적을 위해 두뇌 통제, 특정 유전자 공격 등을 위해 생물공학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미 상무부 관리는 블룸버그 통신에 중국이 신장 자치구에서 12~65세의 광범위한 위구르족 주민들을 대상으로 불법적으로 DNA를 수집하고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해 구금과 박해를 가한 기록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도 "생명공학과 의학은 생명을 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지만, 중국은 이 기술을 국민을 통제하고 종교·인종적 소수자들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며 "미국의 기술이 이 같은 국가 안보에 반하는 행위에 이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미 재무부는 이날 홈페이지에 세계 최대 상업용 드론 제조사인 DJI를 비롯해 안면인식 소프트웨어 기업 쾅스커지, 윈충커지, 수퍼컴퓨터 제조업체 수광, 인공지능 기업 이투커지,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 레온 테크놀로지 등 8개 중국 기업을 투자 블랙리스트에 추가한다고 고시했다.


브라이언 넬슨 미 재무부 테러 및 금융정보 담당 고위 관리는 "중국의 방위, 감시 기술 분야의 민간 기업들이 종교·인종적 소수자를 억압하려는 중국 정부의 노력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원에 이어 상원은 이날 본회의를 열어 강제 노동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중국 신장 지역에서 만들어진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위구르족 강제노동 금지법’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이 법안 발효되면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이 예외를 두지 않는 한 신장에서 들어오는 물건은 모두 수입이 금지된다.


홍콩 국가보안법, 대만해협, 남중국해·동중국해 항행 문제로 충돌해 온 미중 관계에 인권 탄압 문제가 핵심 자극제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인권과 민주주의 가치를 지렛대 삼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동맹을 강화하고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국제사회의 외교적 보이콧을 이끌어내며 반중 전선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의 이 같은 움직임에 중국은 내정간섭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미국을 겨냥해 "특정 세력이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미명 아래 내정에 자의적으로 간섭하고 국제법과 국제관계의 인정된 규범을 잔혹하게 짓밟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