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종 이성(李城)서 백제 ‘다층다각’ 건물터 발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세종 이성(李城)서 백제 ‘다층다각’ 건물터 발견 세종 이성에서 발견된 백제시대 '다층다각' 건물터 전경. 세종시 제공
AD


[아시아경제(세종) 정일웅 기자] 세종시 기념물 제4호 ‘이성(李城)’에서 백제시대 다각다층(多角多層) 건물터가 발견됐다. 백제 다각다층 건물터가 원형 그대로 온전하게 보존돼 발견된 것은 이번이 전국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세종시는 한성문화재연구원과 진행하고 있는 세종 이성 발굴조사에서 7세기 백제시대에 세워진 다각다층 건물터를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시와 연구원은 지난해 이성을 시굴조사한 후 지난 6월부터 이성 성내 4단 유단식(有段式)으로 이뤄진 평탄지와 주변 동벽 구간을 발굴조사 하는 중이다.


발굴조사 과정에서 발견한 다각다층 건물터는 유단식 평탄지의 1단에서 백제 사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건물터가 매우 양호한 상태로 보존된 것으로 확인된다.


1단 건물 구조는 중앙에 방형형태로 초석 12개를 놓고 외곽으로는 30도마다 각을 만들어 내진, 중진, 외진까지 3열로 초석을 놔 12각을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또 방형의 중심부 바닥에는 열 십(十)자 형태로 홈을 팠다.


이러한 초석 배열형태를 토대로 시와 연구원은 건물터에 세워졌던 건물이 2층 이상의 다층 형태며 1층은 12각, 2층 이상은 네모반듯한 형태를 갖췄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전까지 국내에선 12각 다층 건물터가 발견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나 이성에서 발견한 다각다층 건물터는 원형을 비교적 완벽하게 갖춘 첫 번째 사례로 꼽힌다고 시는 강조한다.


건물 축조 시기는 주변에서 발굴된 유물로 미뤄볼 때 7세기 백제 사비기로 추정돼 향후 백제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이밖에도 유단식 평탄지 2단과 4단에서는 방형의 초석건물지, 3단에서는 점토 저수시설이 배치된 것도 확인됐다.


이는 성내 위계에 따른 공간 구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성이 국가적 의례행위의 공간으로 사용됐을 가능성을 높인다.


또 동벽에는 국내 고대산성 중 처음으로 내외협축식의 석축성벽 안쪽에 차수벽을 두고 다시 안쪽에 집수시설을 조성한 흔적도 발견됐다.


이는 성안의 유수 처리를 위한 시설로 성벽 통과식 수구 2곳과 함께 성외 부석시설을 갖춘 고도화된 배수기법이라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한편 세종 전의면 송선리에 위치한 이성은 백제시대 사비기에 초축(初築)된 후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일부 수축(修築)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개원통보(開元通寶)와 각 단의 건물지에서 발견된 다량의 기와, 방형계 건물지에서 발견한 연화문 수막새 등 유물은 이성이 가졌던 옛 위상을 가늠케 한다.



이현구 시 관광문화재과장은 “세종 이성은 삼국시대 산성의 특징과 역사성을 밝힐 소중한 자료로 오래전부터 주목받아 왔다”며 “시는 연차별 발굴조사를 통해 이성의 역사적 가치를 확인하고 복원·정비해 이성이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역사교육 장으로 조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