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기부, 미래 산업 경쟁력 가진 '소부장 스타트업'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개사 선정에 520개사 몰려 26 : 1 경쟁률

중기부, 미래 산업 경쟁력 가진 '소부장 스타트업' 선정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사진제공=중기부]
AD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 '고해상도 바이오 디지털 이미지 분석 솔루션', '자율주행차량과 산업용 4차원(4D) 이미지 레이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중소벤처기업부가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선도할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소부장 스타트업 100'에 지원한 기업들이 추진하고 있는 과제들이다.


'소부장 스타트업 100'은 대기업과 협업을 통해 스타트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대기업의 기술 수요에 맞춰 후보기업을 선정하고, 대기업과 상호 매칭해 약 1개월간 사업 과제를 고도화한 후 최종 선발한다.


중기부가 올해 20개 기업을 최종 선발하기 위해 1차로 40개의 후보기업을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올해는 모두 520개의 스타트업이 지원했는데 26 :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현장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중기부는 지난 2개월 동안 1차 서면평가와 2차 대면평가를 통해 기술의 시장성·확장성, 성장 가능성, 사업성 등을 엄격히 심사해 40개의 후보기업을 선정했다. 오는 11월경 최종 20개 기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소부장 스타트업 100'은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요소인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0년 신설됐으며, 2024년까지 매년 20개사씩 5년간 총 100개사를 선정해 지원하게 된다.


지난해 11월에 선정된 스타트업 20개사는 6개월 만에 매출 227억원, 고용 170명 등의 성과를 달성, '소부장 스타트업 100'이 잠재력 있는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안정적인 국내 공급망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산학연 전문가 회의를 통해 스마트엔지니어링, 복합소재, 융합바이오,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친환경 등 스타트업에게 강점이 있고 신시장 창출이 필요한 5대 분야를 설정했으며, 사업에 대한 국민 관심도를 높이고 역량을 갖춘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해 국민추천제를 도입했다.


분야별로는 친환경 10개(25%), 스마트엔지니어링 8개(20%),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8개(20%), 복합소재 8개(20%), 융합바이오 6개(15%) 순으로 선정됐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20개(50%), 충청권 12개(30%), 영남권 5개(12.5%), 호남권 3개(7.5%) 순으로 선정됐다.


선정된 과제는 증강형 웨어러블 글래스 기기 기반 디지털 트윈 솔루션, 기능성 투시 디스플레이 소재, 고해상도 바이오 디지털 이미지 분석 솔루션, 자율주행차량과 산업용 4차원(4D) 이미지 레이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등 참신하고 실험적인 과제들이 다수 선정됐다.



중기부 관계자는 "최종 선정된 20개사는 최대 2억원의 사업화 비용을 비롯해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융자, 보증, 기술개발 사업 우대 등을 지원받게 된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