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백악관 "페이스북 허위정보가 백신 속도 늦춰" 압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 미국 백악관이 코로나19과 백신에 관한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해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지 않다고 압박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인스타그램과 왓츠앱을 보유한 소셜미디어 업체 페이스북을 직접 거론하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페이스북이 코로나19와 백신에 대한 허위정보 확산을 막기 위해 충분한 조처를 하지 않고 있다면서 부정확한 정보를 없애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소셜미디어에서 퍼진 백신에 관한 허위정보의 약 65%를 반백신주의자 12명이 쏟아냈다는 비영리단체 '디지털 증오 대응 센터'의 연구 결과를 인용해 "그들은 모두 페이스북에서 여전히 활동한다"며 "페이스북은 유해 게시물을 제거하기 위해 더 빨리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조 바이든 행정부가 소셜미디어상의 콘텐츠에 대한 사업자 규제에 나설 가능성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와 이 문제에 대해 대화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사키 대변인은 "내가 알고 있는 한 없다"고 답했다.


백악관 "페이스북 허위정보가 백신 속도 늦춰" 압박
AD


코로나19 자문단 소속의 비베크 머시 미 공중보건서비스단(PHSCC) 단장도 소셜미디어에서 빠르게 확산되는 허위정보가 코로나19 백신 접종 속도를 늦추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머시 단장은 "소셜미디어 업체들은 자신의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허위 콘텐츠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되는 구조가 코로나19 관련 허위정보가 확산되는 환경을 만들었다"며 "그들은 의도적으로 허위정보를 퍼트리는 이들을 허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정확한 콘텐츠가 아닌 감성적인 콘텐츠에 '좋아요' 버튼을 누르고, 이를 공유하는 알고리즘이 우리를 더욱 더 많은 허위정보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플랫폼에 의해 허위정보의 확산 속도와 규모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며 "소셜미디어 업체들이 몇 가지 조처를 했다는 것을 알지만, 훨씬 더 많은 조처를 해야 한다"며 공격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현행법(통신품위법 230조)상 페이스북과 같은 플랫폼 사업자들은 사용자가 올린 콘텐츠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


앞서 페이스북과 계열사인 인스타그램은 올 초부터 코로나19 백신과 관련 허위정보로 판단되는 게시물에 경고 문구를 붙여왔다.


승인 전 안전 효용 시험 단계에 있는 코로나19 백신을 놓고 안전성 여부를 논하는 게시물을 제한하고 백신 접종을 거부하도록 선동하는 허위정보가 퍼지는 것을 막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해당 조치가 늦어 백신 거부와 관련한 허위주장과 선동을 해결하는데 턱없이 부족하다며 허위정보를 삭제하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