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물백신' 시노백 접종자 항체, 화이자의 10분의 1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물백신' 시노백 접종자 항체, 화이자의 10분의 1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물백신' 논란이 일어난 중국산 시노백 백신을 접종한 사람의 항체 수준이 화이자 접종자의 10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홍콩대 연구진이 현장 의료진 144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항체 형성률을 조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한 시노백 백신 접종자의 항체 수준은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한 환자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다양한 시차를 두고 의료진의 혈액 샘플을 채취해 분석했다. 가장 먼저 9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시험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자 63명은 1차 접종 이후 항체 농도가 상당히 올라갔고, 2차 접종 이후 더 올라갔다. 반면 시노백 백신 접종자 30명은 1차 접종 후 항체 농도가 낮았고, 2차 접종 후 보통 수준이 됐다.


또 두 백신의 접종자 각각 12명을 뽑아 조사한 항체 수준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자의 평균 항체 수준은 269로, 시노백 백신 접종자의 27보다 약 10배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와 함께 화이자 백신 접종자 중 가장 낮은 수준의 항체 보유자가 시노백 백신 접종자 중 가장 높은 수준의 항체 보유자보다 항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화이자 백신과 시노백 백신의 예방효과는 각각 95%와 50.7%로 보고됐다. SCMP는 "항체 보유량은 면역 수준과 직접 연관되지는 않지만, 항체 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코로나19 감염에 강하게 대응하고 면역 기간이 더 오래 지속된다는 연구 결과가 계속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두 백신 접종자의 중화항체 농도 차이는 백신 효과의 상당한 차이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노백 백신 접종 중 특히 면역 반응이 약한 노인의 경우는 부스터샷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SCMP에 따르면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홍콩 양화의원 연구진이 홍콩의학저널에 발표한 연구 결과와 비슷하다. 해당 연구에서는 457명의 의료진을 대상으로 항체 조사를 진행했으며 화이자 백신 접종자의 항체 수준이 시노백 백신 접종자보다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