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디지털로 전환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문화재청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2030' 발표
2030년까지 정책과제 열일곱 개 추진
"2031년부터 대국민 서비스 본격화"

문화재 보존·관리·활용 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된다.


문화재청은 사회·경제 전반의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는 내용을 담은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2030'을 16일 발표했다. 중요한 의사결정이나 대국민 서비스에 과학적 자료, 지능정보기술 등을 폭넓게 접목할 계획이다. '디지털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유산'을 목표로 네 가지 전략을 마련해 2030년까지 정책과제 열일곱 개, 세부과제 쉰아홉 개를 추진한다.


네 가지 전략은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의 전환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강화다. 일하는 방식의 디지털 전환의 핵심은 문화재 데이터를 수집·축적·통합·관리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이다. 다양한 자료를 자원으로 활용하고, 문화산업 원천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개방한다. 아울러 무형문화재 전승지원 통합플랫폼, 문화재 수리기록 통합관리 시스템, 문화재 안전을 위한 방재 드론 스테이션 등을 구축해 효율성을 높인다.


대국민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의 목표는 데이터와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문화재 정보서비스의 개선이다. 방문자 눈높이와 상황을 인공지능이 자동 인식해 맞춤형으로 안내하는 문화재 안내봇을 개발해 로봇 해설사, 인공지능 스피커, 디지털 안내판 등에 접목한다.


데이터 축적과 관리방식 전환에는 국가 귀속 출토유물의 목록 자료화, 해양문화재와 수중매장문화재의 디지털 자료화, 국외소재문화재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세계유산 자료 및 정보체계 마련 등이 뒷받침된다. 한양도성, 경주 등 역사 도시 속 문화재와 인물, 사건 등을 디지털로 복원해 가상공간에서 경험하는 '메타버스 타임머신' 서비스도 내년까지 마련된다.


디지털 대전환 생태계 환경 강화 방안은 크게 세 가지다. ▲문화재 디지털 대전환 경험의 세계 공유 ▲문화재 현장에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자 양성·배치 ▲디지털 취약계층인 노인, 어린이, 장애인, 이주외국인 대상의 문화재 디지털 향유 서비스 제공이다.



문화재청 측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 분야별 데이터를 축적·가공·통합해 문화재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인공지능 업무와 서비스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 빅데이터 분석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어 "2031년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