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동네 주민 안전·편의 담당 '마을관리소' 생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5월까지 공모 진행해 10개 지자체 선정
편의서비스제공, 주거환경개선, 방범 관리 등과 같은 역할 수행

동네 주민 안전·편의 담당 '마을관리소' 생긴다
AD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 주거여건이 취약한 동네에 아파트관리소와 같이 주민의 안전과 편의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을관리소가 생긴다.


7일 행정안전부는 지자체 공모를 통해 지자체 10곳에 ‘마을관리소’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마을 관리소 조성’을 위한 지자체 공모를 실시한 바 있으며 21개 지자체 중 내·외부 전문가의 공정하고 엄격한 심사를 통해 10개의 지자체를 선정했다.


마을관리소 조성사업은 지역주민생활 밀착형 7대 중점과제의 일환이다. 긴급자동차 자동 진출·입 시스템 구축, 중소기업 노동자 작업복 공동세탁소 설치, 마을 관리소 조성, 교통약자를 위한 모바일 호출서비스, 가축분뇨 악취 저감 통합솔루션, 대형폐기물 간편 배출시스템 확산, 지역 소상공인 희망대출 등이다.


마을관리소는 주민·공동체를 위한 편의 서비스 제공, 주거환경 개선, 방범 관리 등과 같은 업무를 추진한다. 안성시 일죽면은 독거 어르신 등이 39%를 차지하고 있어 마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김포시 대곶면은 외국민 주민 비율이 높고 1인 가구 다수인 지역으로 생활불편해소 서비스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창원시 예곡마을은 그린벨트 지역으로 주택 및 상수도 노후화 등 주거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마을회관이 주민이 침목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면 마을관리소는 노후주택 수리 및 공구대여, 우범지역 순찰, 안심귀가 서비스 등과 같은 생활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행안부는 마을관리소의 운영현황 등을 점검해 내년에는 대상지역을 확대하고, 공동체 일자리·공공근로·희망근로 등 중앙 및 지자체 일자리 사업과 연계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박성호 지방자치분권실장은 “마을관리소는 빌라, 소규모 주택 밀집지역에서 아파트 관리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돼 지역주민 불편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전국적으로 확산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