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도체 산업 유치에 발벗고 나선 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美·中 갈등에 수급 불안정

반도체 산업 유치에 발벗고 나선 日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권재희 기자] 일본 정부가 미·중 갈등으로 반도체 수급이 불안정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산업을 자국으로 유치하는 방안이 담긴 성장전략 원안을 마련했다.


3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전날 가토 가쓰노부 관방장관이 좌장을 맡은 성장전략 회의에서 다른 나라에 필적할 조건을 갖추도록 신속 대응해 반도체 기반 시설이 일본에 유치할 수 있도록 확실한 체제를 구축한다는 내용이 담긴 원안이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유치에 나선 것은 미.중 대결 구도가 심화하고 일본이 미국에 보조를 맞추는 가운데 반도체 조달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반도체의 약 64.2%를 수입하고 있으며 특히 대만과 중국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특히 회로 선의 폭이 10나노미터(10억분의 1m) 미만인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첨단 반도체 제조 능력은 대만이 세계 시장의 약 90%를 점하고 있다.


반도체의 안보상 중요성에 관해 경제산업성의 한 간부는 "반도체는 이미 식량이나 에너지와 마찬가지"라는 말했다고 니혼게이자이는 전했다.


일본 정부는 반도체 산업 유치를 위해서는 디지털 산업을 육성해 수요를 확대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이를 위해 5세대 이동통신(5G),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의료로봇 등 분야의 디지털 투자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경제산업성은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 제조업체인 대만 TSMC가 일본 이바라키현에 연구개발 거점을 조성하도록 약 190억엔(약 1925억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지난달 말 발표한 바 있다.


반도체 외에도 축전지, 차세대 데이터센터 등에 관한 투자 계획도 성장전략 원안에 담겼다.



일본 정부는 여당과의 협의를 거쳐 성장전략을 이번 달 각의에서 결정할 예정이다.




권재희 기자 jayf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