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세계, '아시아 유통기업' 9위·롯데 11위 등극 … 쿠팡·네이버도 20위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유로모니터, '2021 아시아 100대 유통기업' 발표

신세계, '아시아 유통기업' 9위·롯데 11위 등극 … 쿠팡·네이버도 20위권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국내 양대 유통기업인 신세계와 롯데가 아시아 전체 유통기업 순위에서 상위권에 선정됐다.


27일 시장조사기업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2021 아시아 100대 유통기업 (Top 100 Retailers in Asia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신세계와 롯데가 각각 9위와 11위를 차지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유통 현황과 시장 변화를 이끄는 주요 요인에 대해 소개한 이 보고서는 2019년과 2020년 아시아 지역의 온·오프라인 유통 시장규모를 판매액 기준으로 측정해 순위를 책정했다. 호텔, 외식 등 서비스 산업과 면세점 판매액은 제외됐다.


신세계는 지난해 매출액이 247억5100만달러(약 27조6600억원), 롯데는 210억5700억달러(약 23조5300억원)를 기록했다.


올해 미국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쿠팡(200억9500만달러)은 지난해보다 7계단 상승해 12위로 성장했다. 20위에 오른 네이버(142억7800만달러)도 처음으로 상위 20위 내에 진입했다.


중국의 알리바바와 징둥닷컴은 각각 1·2위로 기존 순위를 유지했다. 코로나19로 다양한 품목을 한번에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이 일순간 늘어나면서 이온그룹(3위) 등 수혜를 입은 오프라인 매장 기반 유통 기업도 있었지만, 소비자들의 외부 이동이 감소하면서 세븐&아이홀딩스(4위) 등 타격을 입은 기업도 보였다. 반면 이커머스 기업들은 성장을 이뤘는데, 중국의 대표 e커머스기업인 핀둬둬(5위)는 작년 7위에서 5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아시아·태평양 e커머스 시장은 전년대비 두 자릿수 성장한 20.7%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세계적 수준의 모바일 연결성이 유통과 같은 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능하게 만들었고, 기술친화적인 소비자층을 바탕으로 시장 성장을 이뤘다는 분석이다. 오는 2025년 아시아·태평양 e커머스 시장 규모는 2조달러에 가까워질 것으로 전망됐다.


아시아·태평양은 경제적·문화적 차이가 가장 다양한 대륙으로 꼽힌다. 유로모니터는 인도의 높은 내수시장 성장과 급성장하는 중국의 중산층, 한국과 일본의 진보된 기술력을 주요한 이유로 들며, 이들 4개 국가가 세계 e커머스 산업에서 가장 높은 잠재력을 지닌 10대 국가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유로모니터 디피카 챤드라 서비스&유통 부문 수석연구원은 "그 어느 때보다 소비자들이 온라인으로 연결된 시대에 점점 더 많은 브랜드들이 고객과 소통하고 신뢰를 쌓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각 현지에 최적화된 쇼핑 환경에서 다양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한 개인화된 리테일 체험 구축은 미래 유통기업이 반드시 고려해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