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도쿄올림픽, 무관중 개최도 각오"...관객수 결정 6월로 미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6월 결정시 의료진 배치 등 대응마련 어려울 듯
도쿄도 등 비상사태선언 지역들, 무관중 개최 주장

日 "도쿄올림픽, 무관중 개최도 각오"...관객수 결정 6월로 미뤄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이 무관중 개최를 공식적으로 시사하면서 7월 개최를 앞두고 국내외적으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수도 도쿄를 비롯해 주요 대도시들이 비상사태선언에 돌입한 가운데 이들 지방자치단체들에서는 무관중 개최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28일 일본정부와 도쿄도,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대표 등 도쿄올림픽 관계자가 모두 참석한 5자 회담이 화상으로 개최됐다. 경기장 관중 상한선에 대한 최종 결론은 이번에도 결정하지 못했으며, 코로나19 사태 추이를 지켜본 후 오는 6월에 최종 판단하기로 합의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하시모토 위원장은 이날 화상회담이 끝난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무관중 개최라는 각오도 있다"라며 "6월 초까지 관중수 상한을 결정치 않는다면 준비에 매우 큰 불편을 끼치게 될 것"이라 밝혔다.


결국 일본정부가 관중 상한선을 또다시 6월에 결정키로 미루면서 사실상 무관중 개최를 자인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올림픽 한달 전에 관객 상한수를 정할 경우, 의료진 배치 등 코로나19 대응 준비시간이 거의 없는 것이나 다를 바 없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앞서 일본정부는 국내외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해외 관중은 받지 않기로 결정했으나 국내 관객에 대해서는 경기장 수용 정원의 50% 등 반드시 배치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비상사태가 이미 발령된 도쿄도를 비롯한 주요 대도시들은 강력하게 무관중 개최를 주장 중이다. 일본 내 코로나19 일일확진자가 5000명대를 넘어서면서 올들어 세번째 긴급사태 선언이 발령된 상황에서 무관중 개최를 하지 않으면 비상사태 자체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