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그래핀에서 청색광이.. '퀸텀닷 디스플레이' 기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그래핀·질화붕소 경계에서 청색 발광 최초 발견
청색 발광 LED 소자·센서 등 활용 가능

그래핀에서 청색광이.. '퀸텀닷 디스플레이' 기대 그래핀 발광 현상을 이용한 유기물 기반 발광소자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금속 도체 성질을 갖는 그래핀을 디스플레이 소자 광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신현석 울산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의 연구팀은 그래핀과 화이트 그래핀으로 불리는 육방정계 질화붕소 경계면에서 청색 발광 현상을 최초로 발견했다고 27일 밝혔다. 관련 논문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최근 실렸다.


그래핀에서 푸른 빛을 발견
그래핀에서 청색광이.. '퀸텀닷 디스플레이' 기대 그래핀과 질화붕소 계면의 청색 발광 원인 규명


신 교수팀은 그래핀과 육방정계 질화붕소 계면에서 푸른빛 나오는 현상 발견하고 이를 응용한 발광소자(광원)을 제작했다. 연구팀은 20nm 이하 크기 이하의 그래핀 입자(그래핀 퀀텀닷)가 심어진 질화붕소 막을 수직으로 쌓는 방식을 써 발광 강도를 높였다. 그래핀 뿐만 아니라 그래핀과 육방정계 질화붕소도 유연한 소재라 접히거나 굽혀지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만들 수 있다.


제1저자인 김광우 박사는 "그동안 이론적으로만 존재 가능성이 점쳐졌던 두 물질 계면의 발광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다"며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갖는 그래핀과 육방정계 질화붕소로 이뤄진 2차원 물질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던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에너지 준위가 발생
그래핀에서 청색광이.. '퀸텀닷 디스플레이' 기대 신현석 교수(왼쪽부터), 김민수 연구원, 마경열 연구원


연구팀은 발광현상의 원인도 찾아냈다. 원래 반듯한 육각형 모양이던 두 물질의 구조가 경계면에서 5각형, 7각형 모양으로 바뀐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를 토대로 물질 내 전자의 에너지를 분석했다. 이 결과 전자(전하)가 경계면에 집중되면서 새로운 에너지 준위가 만들어진 것이 발광 현상의 원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신 교수는 "이 연구는 전도체인 그래핀과 부도체(절연체)인 질화붕소의 계면이 광원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이러한 2차원 복합체 기반의 광센서나 LED와 같은 광전자소자를 구현함으로써 유연 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연구"라고 기대했다.



한편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6각형 모양으로 이어진 얇은 막이다. 얇지만 강하고, 유연할 뿐만 아니라 열전기 전도도까지 높아 꿈을 물질로 불린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