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코로나바캉스 Q&A] 물속에서 전파? 워터파크서 마스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코로나바캉스 Q&A] 물속에서 전파? 워터파크서 마스크? 서울 한 낮 기온이 31도까지 오른 1일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 물빛광장을 찾은 어린이들이 물놀이를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여름 휴가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역 간 이동이 늘어나고 사람들이 밀접하게 모이는 만큼 지난 5월 황금연휴 이후 발생한 '이태원 클럽'과 같은 집단감염이 재발되는 것을 막으려면 방역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물속에서도 감염될 수 있나=물을 통한 전파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바닷물이나 수영장, 욕조 안에서도 코로나바이러스가 확산된다는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물놀이, '고위험'이라는데=물놀이는 마스크 착용이 어렵고 물품 공유 등이 잦아 위험도가 높은 일상생활 활동으로 분류됐다. 탈의실, 식당, 휴게실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침방울이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물놀이 자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실외 공용시설이나 다중이용시설 이용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방역 수칙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워터파크서 마스크 써야 하나=물놀이는 하되 물 밖에선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한다. 탈의실 등에서 밀집해 대화를 하면서 옷을 갈아입는 행동은 위험하다. 옷을 갈아입을 때는 다른 사람과 간격을 유지하고 머무르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샤워 시설은 한 칸을 띄고 사용하고 샴푸, 로션, 면봉 등 시설 내 비치된 공용 물품을 사용하는 대신 개인 물품을 따로 챙겨간다.



◆해수욕장과 계곡 중 안전한 곳은=한적한 해수욕장과 계곡은 같은 물놀이라도 워터파크나 실내 수영장보다 위험도가 낮아진다. 타인과의 거리 두기 등이 현실적으로 더 가능한 데다 방역수칙의 핵심인 환기가 가능한 환경이기 때문이다. 또 워터파크와 달리 놀이기구 대기시간 등이 없어 타인과 대화하거나 신체 접촉할 일도 상대적으로 적다. 해수욕장을 방문하기 전에는 해양수산부에서 운영하는 '바다여행 일정만들기'에서 해수욕장 혼잡도 신호등을 사전에 확인하고 한산한 곳을 선택한다.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