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모빌리티 폐업이 씁쓸한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자수첩] 모빌리티 폐업이 씁쓸한 이유
AD


[아시아경제 부애리 기자] 한때 이용자가 100만명에 달했던 모빌리티 카풀 서비스 '풀러스'가 결국 사업을 접었다. '타다'가 지난 4월 서비스를 중단한 데 이어 모빌리티 벤처가 사업을 포기한 것은 올 들어 벌써 두번째다. 다른 작은 벤처들도 사실상 폐업 수순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모빌리티 흑역사'가 거세게 몰아치고 있는 꼴이다.


주목할 것은 풀러스가 사업을 포기하면서 밝힌 이유다. 풀러스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카풀 시장이 타격을 받았다"면서도 "2019년 3월 사회적 대타협으로 카풀 이용이 제한됐다"는 점을 빼놓지 않았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라는 대형 악재에 '사회적 대타협'이 또 다른 악재로 작용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앞서 타다도 같은 이유로 사업을 포기했다는 점에서 '사회적 대타협'은 적어도 모빌리티 업계에는 전혀 사회적이지도, 타협적이지 않은 '악연'인 셈이다.


사회적 대타협이 나온 배경은 풀러스 등이 카풀 서비스를 시작한데 대해 택시 업계가 강력 반발하면서다. 당시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에는 출퇴근 시간에 카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을 뿐 구체적인 시간은 명시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모빌리티 업계와 택시 업계는 서로 다른 해석을 내놓으며 기싸움을 이어갔다. 택시업계의 반발이 계속되자 정부는 '택시ㆍ카풀 사회적 대타협 기구'를 출범시켰다. 하지만 이 기구에는 정부와 여당,택시업계, 카카오모빌리티만 참여해 출퇴근 4시간(오전 7~9시, 오후 6~8시)에만 카풀 서비스를 허용했다. "하루 4시간만 영업해서 어떻게 성장할 수 있겠냐"는 모빌리티 업계의 반발은 '사회적 대타협'이라는 수식어에 묻히고 말았다. 사실상 모빌리티 업계의 추락은 이때 시작된 셈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3월 모빌리티 기업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혁신도 상생할 수 있다는 한국형 혁신모델이 정착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듣기에는 좋은 말이지만, 정작 한국형 혁신모델에 힘을 보태야 할 모빌리티 벤처들이 하나 둘 꿈을 접고 있다. 물론 정부가 중재에 나서야 할 때도 있다. 하지만 이번 만큼은 그 중재가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작용했다는 벤처 업계의 쓴소리를 정부가 귀담아들어야 할 것이다.




부애리 기자 aeri34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