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하버드대 "코로나19, 작년 8월 우한서 발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美 하버드대 "코로나19, 작년 8월 우한서 발병"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중국 우한(武漢)에서 이르면 지난해 8월 말 발병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현지시간) 미국 CNN방송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 등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진은 우한의 병원 주차장을 촬영한 위성사진과 인터넷 검색량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주장했다.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디지털 메디신에 기고한 논문에서 2018년 8월부터 우한의 병원 5곳에 주차된 차량이 1년 전보다 눈에 띄게 늘어나기 시작해 그해 12월 정점을 찍었다고 밝혔다. 이 논문은 동료평가를 아직 거치지는 않았다.


예컨대 2018년 10월과 2019년 9월에 찍힌 우한 퉁지의학원 주차장의 위성사진을 비교해보면 각각 112대, 214대로 차이가 있었다. 톈여우(天佑) 병원 주차장도 2018년 10월과 2019년 10월을 비교해보면 171대, 285대로 후자가 더 붐볐다.


美 하버드대 "코로나19, 작년 8월 우한서 발병" 미국 ABC방송 제공

이번 연구를 이끈 존 브라운스타인 교수는 병원 주차장이 붐빈다는 것은 그 당시 병원이 얼마나 바빴는지 보여주는 지표라며 지난해 늦여름∼가을 우한에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구진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황은 더 있다. 우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늘어난 시점에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에서 코로나19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알려진 '감기', '설사' 검색량이 급증한 것이다.


브라운스타인 교수는 "우한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 중 많은 수가 설사 증세를 보였다"며 "바이두에서 설사를 검색하는 사람이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수준으로 많이 증가했다는 데이터는 주목할만 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병원 주차장 위성사진과 바이두 검색량만 갖고 코로나19가 지난해 8월 발생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겠지만, 코로나19 대유행 훨씬 이전에 우한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