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계·선박 등 한국 15대 수출품, 수출 7.8% 감소 전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계·선박 등 한국 15대 수출품, 수출 7.8% 감소 전망 자료 : 전국경제인연합회
AD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기계와 선박, 자동차 등 우리나라 주요 15대 수출품의 올해 수출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회원사와 관련 업종 단체 조사 결과 올해 우리나라 15대 수출품목의 수출이 전년 대비 7.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5일 밝혔다. 이 결과는 무역협회, 한국경제연구원 등이 각각 코로나19가 본격화하기 전인 작년 11월, 올해 2월에 예측한 것보다 10% 포인트 이상 감소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로 일반기계(-22.5%), 디스플레이(-17.5%), 선박류(-17.5%), 자동차(-12.5%), 섬유(-12.5%) 업종의 수출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가전(-12.0%), 무선통신기기(-11.0%) 등도 수출부진이 예상됐다.


반면 반도체(0.6%), 컴퓨터(5.0%)는 비대면 접촉의 증가에 따른 IT 수요 증대로 다소간의 수출증대가 전망됐다. 특히 바이오헬스(25.8%)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의료·건강 관련 수요증가로 전년 대비 수출 급증이 예상됐다.


전경련은 수출 감소 위기 타개를 위한 10대 정책 과제를 정부에 6일 긴급 건의한다고 밝혔다.


우선 주요국의 한국 기업인의 입국금지 및 제한 조치를 신속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개별기업이 전세기를 띄워 중국, 베트남 생산기지 가동을 위한 엔지니어를 파견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건강확인증 발급 등을 통해 입국을 허용하는 예외조치가 이달 중에는 모두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공세적 다자·양자 자유무역협정(FTA)도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2015년 12월 한중FTA 발효 후 FTA를 활용한 수출이 정체상태에 있다. 중국, 아세안 FTA에 대한 한국기업의 수출입 활용도도 50~70%대에 불과하다. 반면 경쟁국 일본은 CP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출범 주도 등 공세적 FTA를 통해 2019년 기준 FTA 활용률이 한국을 추월했다.


통화스왑계약 체결국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은 미국과 6개월,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왑을 체결해 급한 불을 껐지만, 코로나19로 인한 달러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기축통화국과 통화스왑을 체결하고 장기적으로 일본 수준으로 통화스왑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와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 비자 연장, 일본인 서비스 엔지니어 출입국 제한 완화, 다자 공조체제를 통한 보호무역주의조치 동결(Stand Still) 리딩 등이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됐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가 3월부터 한국의 최대 수출지역인 중국, 미국, 유로존의 금융, 실물경제를 강타하고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진단, 방역, 대응 과정을 통해 높아진 한국의 국가위상을 레버리지로 삼아 정부는 무역, 통상 분야에서도 기업애로와 현안을 능동적으로 해결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