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격전지를 가다] '文정부 실정' 보다 못해…경제통, 책상 박차고 정치판으로 나섰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강남병 출마하는 유경준 미래통합당 후보 인터뷰

[격전지를 가다] '文정부 실정' 보다 못해…경제통, 책상 박차고 정치판으로 나섰다
AD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 "정부가 1가구 2주택에 대해서도 보유세를 엄청나게 올리고 있다. 팔게 하려면 퇴로를 열어줘야 하는데, 양도세도 엄청나다. 부자징벌적 정책 아닌가. 집을 2~3채 갖고 계신 분들은 전세 공급자로도 볼 수 있는데, 부동산세와 종부세를 다 올려 버리면 전세가격은 오르게 된다.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 때 주택 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다. 부자를 적대시해 지지층을 결집하는 것은 최선의 정책이 아니다."


유경준 미래통합당 강남병 후보는 1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 정부의 정책은 모두 갈등을 유발하는, '정책'이 아닌 '정치'"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강남병 지역을 도맡은 그의 이름은 경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1961년생인 유 후보는 1985년 서울대 경제학과를, 1995년 미국 코넬대에서 노동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노동연구원 연구위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이코노미스트를 거쳐 2015년 7월부터 2년간 통계청장을 역임했다. 지난 2월에는 한국노동경제학회장직을 맡았다.


'친박'인 유기준 의원의 동생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유 후보는 그보다 경제정책 전문가로 불리기를 더 원했다. 문재인 정부의 실정을 학자 입장에서 비판하기도 했다. 유 후보는 "(문 정부의 실정이) 정책을 오래 한 저를 정치로 끌어냈다"며 "저는 좋은 정책으로 나라를 발전시키고 싶었는데, 이건 정책이 아니라 정치로 가니까 '나도 정치를 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강남병은 미래통합당의 전통적 표밭이다. 그렇기에 부담감은 더 컸다. '이기는 게 당연한' 분위기 때문이다. 유 후보는 "보수 분열 때문이라고는 해도, 강남구청장이 더불어민주당 출신이 된 건 과거엔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안심할 수만은 없다"며 "강남 중에서도 보수가 강한 지역이라, 그냥 이기면 국회 들어가서 할 말이 없다. 많은 분들이 '압승을 하고 와야 한다'고 선전을 당부하더라"고 말했다.

[격전지를 가다] '文정부 실정' 보다 못해…경제통, 책상 박차고 정치판으로 나섰다



그가 강남병 후보로 최종 결정되기까지 공천 과정의 잡음도 있었다. 현직인 이은재 의원이 컷오프(공천배제) 되고, 청년 후보인 김미균 대표는 공천이 번복되기도 했다. 유 후보 역시 '공천파동'의 여파를 느꼈다고 한다. 그는 "제가 인사하러 다니니 '이번에는 확실히 정해진 거냐?'라고 묻는 분들도 있더라"며 "잘 정리돼서 다행이라는 말도 들었다"고 말했다.


유 후보는 이번 총선에서 강남병의 최고 핫 이슈는 부동산이라고 판단했다. 그는 "강남구에는 연세가 많으신 분, 잘 사시는 분, 성공하신 분이 많다. 대치동 학원가에는 전세로 이사오신, 아이 교육에 관심이 많은 젊은 부부들이 있다. 문 정부 들어 부유세, 부동산세, 종부세 등을 너무 급격하게 올리다 보니 그에 대해 위기감을 느낀다. 경제를 잘 아는 전문가가 세금 폭탄을 걷어줬으면 하는 바람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유발 경제효과만 265조원으로 추산되는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착공도 문제다. 유 후보는 "착공을 해야 하는데 계속 지연이 되고 있다. GBC는 강남권 개발, 재건축과 연관되는 큰 프로젝트다. 대표적으로 은마아파트, 미도, 쌍용, 럭키 등 재건축에 들어가야 할 아파트들이 많은데 뚜렷한 이유 없이 서울시에서 허가를 안 내주고 있다. 그 부분에 대해 사유재산권 침해 여지가 있다고 보고 구체적 대안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은 젊은 부부들을 위한 방안도 고민 중이다. 그는 "질 좋은 사교육으로 좋은 학교에 진학시키려는 젊은 부부들이 많이 이사왔는데, 주거와 함께 높은 사교육비 부담이 있다"며 "강남발 사교육비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leez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