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븐일레븐, '라스트오더' 누적 판매량 14만개 돌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전국 8000여점 서비스 이용 가입
도시락 수요 높고, 20~30대 남성 다수
상품 발주·판매는 늘고, 폐기는 줄어

세븐일레븐, '라스트오더' 누적 판매량 14만개 돌파
AD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세븐일레븐이 지난 2월 선보인 마감할인판매 ‘라스트오더’ 서비스가 고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라스트오더 서비스 개시 50여일 만에 누적 판매량 14만개를 달성해 이를 통한 폐기 절감액이 3억5000만원에 달한다고 25일 밝혔다. 라스트오더는 현재 전국 8000여 점포에서 서비스 이용에 가입해, 4500여 점포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중이다.


라스트오더는 롯데 엑셀러레이터의 스타트업 펀드투자 우수기업인 ‘미로’가 개발·운영하는 유통기한 임박상품 거래 플랫폼이다. 지난 2월 편의점 업계 최초로 세븐일레븐이 미로와의 제휴를 통해 선보였다. 현재 대상 품목은 도시락, 삼각김밥, 김밥, 유음료 등 유통기한이 상대적으로 짧은 약 330여개 상품이다.


◆도시락 수요 가장 많아…주고객층은 20~30대 남성= 라스트오더 서비스에서 가장 매출이 높게 일어나는 상품군은 도시락, 삼각김밥 같은 '미반' 카테고리로 전체의 72%를 차지했다. 미반 상품은 편의점을 대표하는 간편식으로 고객 친숙도와 선호도가 높고, 유통기한이 36시간 정도로 유음료나 신선식품보다 짧은 만큼 상품 등록 빈도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연령별로는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생활 쇼핑에 친숙한 20~30대가 각각 35%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며 주고객층을 형성했고, 성별로는 남성이 65.5%로 여성(34.5%)보다 높았다. 편의점 음식 대부분 취식이 편리한 만큼 시간적 효율이 좋아 여성보다는 남성이 상대적으로 더 즐겨 찾는 일반적인 고객 특성이 그대로 반영됐다.


시간대별로는 저녁시간대인 오후 6시에서 8시 사이가 22.0%로 가장 높았고, 늦은 오후 간식거리로 찾는 사람도 늘며서 오후 4시 이후가 13.4%로 뒤를 이었다.


◆발주·판매 늘고 폐기는 줄어드는 선순환 구조= 라스트오더 서비스는 가맹점의 점포 운영효율 개선에도 효과를 발휘했다. 라스트오더 서비스 운영 상위 100개점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대상 상품군의 전체 발주가 전년 대비 21.8% 증가했다. 판매도 24.6% 증가했으며, 폐기는 6.4% 감소했다.


상품 발주를 늘리면 구색 강화 효과로 인해 판매가 기본적으로 동반 상승하고, 일부 미판매 상품이 발생하더라도 라스트오더 서비스를 통해 폐기를 면할 수 있다.


전국에서 라스트오더 서비스를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는 점포는 세븐일레븐 '용현굴다리점'으로 서비스 시행 후 폐기가 45.6%나 감소했고, 발주와 판매는 각각 25.4%, 32.3% 늘었다.


김주란 세븐일레븐 용현굴다리점 경영주는 “라스트오더 서비스를 통해 객수가 늘었고 추가 매출로도 이어져 점포 수익 향상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세븐일레븐은 라스트오더 서비스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지난달에 이어 이달에도 반값 할인 행사를 이어간다. 아울러 상반기 중에 디저트, 냉장으로 대상 카테고리를 1차 확대하고 추후엔 식품군 전체로 대상 품목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영혁 세븐일레븐 경영전략부문장은 “라스트오더 서비스가 눈에 띄는 가시적 효과를 보이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고객과 경영주 모두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현재 해외에서도 라스트오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다. 코리아세븐이 국내 우수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