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일랜드 총선, 단독과반 정당 없을듯...연립정권 불가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일랜드 총선, 단독과반 정당 없을듯...연립정권 불가피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아일랜드 총선에서 집권 통일아일랜드당과 제1야당인 공화당, 제3당인 신페인당 등 3당이 모두 비슷한 득표를 할 것으로 예측되면서 어느 정당도 단독으로 과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립정권 구성이 불가피해짐에 따라 정부 구성에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8일(현지시간) 아이리시 타임스와 아일랜드 공영 RTE 방송, TG4 방송,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등의 공동 의뢰로 진행된 출구조사에 의하면 리오 버라드커 총리가 이끄는 집권 통일아일랜드당(Fine Gale)은 22.4%를 득표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홀 마틴 대표가 이끄는 공화당(Fianna Fail)은 22.2%, 신페인당은 22.3%를 얻을 것으로 예상됐다. 주요 3당에 이어 녹색당 7.9%, 노동당 4.6%, 사회민주당 3.4%, '이익에 앞선 연대(Solidarity People Before Profit)' 2.8%, 무소속 및 기타 14.5% 등으로 집계됐다. 오차 범위는 ±1.3%다.


주요 3당 모두 오차범위 내에서 비슷한 득표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실제 의석이 어떻게 배분될지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아일랜드는 이양식 투표제(STV·single transferable vote)라는 독특한 비례대표 형태의 선거제도를 갖고 있는데, 유권자가 가장 선호하는 후보가 당선 기준 이상의 득표를 하거나 아예 탈락할 경우 이 유권자의 표는 2순위, 3순위 선호 후보에게로 넘어간다.



3당이 모두 엇비슷한 의석을 얻을 경우, 어느 정당도 단독으로 과반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연립정부 구성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총선 때도 연립정부를 구성하는데 상당 기간이 소요됐다. 통일아일랜드당은 두달 넘게 연립정부를 구성하지 못하다가 공화당과 협정을 통해 가까스로 정부를 출범시킨 바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