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야외 공기청정기가 왜 웃음거리냐" 조명래의 탄식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자수첩]"야외 공기청정기가 왜 웃음거리냐" 조명래의 탄식 서울을 포함한 중부지역에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시행된 11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네거리에서 바라본 도심이 미세먼지에 싸여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부정적 여론에 떠밀려 좌초됐던 환경부의 야외 공기청정기 설치 사업이 재개될 수 있을까. 정부가 미세먼지 감축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가운데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17일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여전히 야외 공기청정기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라며 "공기 정체로 고농도 미세먼지가 압축화된 지역에 대해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공기 정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독일의 사례를 들며 "고농도 미세먼지가 심각한 시가지의 도로에 이동식 야외 공기청정기를 설치했을 때 농도가 30~40%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왜 야외 공기청정기 이야기가 희극이 되고, 웃음거리가 돼야 하나"라고 토로하기도 했다. 야외 공기청정기 사업이 '미세먼지의 주범은 고등어' 수준의 조롱거리가 된 점에 아쉬움을 드러낸 것이다.


지난 3월 환경부가 야심차게 발표한 야외 공기청정기 추진 사업은 여론의 반발을 사면서 한 차례 무산된 바 있다. 당시 조 장관은 '고농도 미세먼지 긴급조치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건물 옥상, 지하철 환풍구 등에 야외 공기청정기를 설치해 미세먼지를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조 장관은 "서울형 혹은 한국형 도심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기기를 발굴하는 사업을 곧 착수할 계획"이라고 했다. 민간 사업자 공모 형식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상품을 수출하면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드러냈다.


그러나 여론은 냉담했다. 야외 공기청정기의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면서 곧바로 '보여주기식 정책' '예산 낭비' 등의 낙인이 찍혔다. 여론의 반응을 의식한 환경부는 공식 정책에서 이를 제외했고, 야외 공기청정기 개발을 검토했던 민간기업도 손을 놓고 말았다.


야외 공기청정기가 '도심 미세먼지 해결사'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직 한 번도 시도해보지 않은 영역이기 때문이다. 중국, 네덜란드 등 해외에서 시도됐지만 저감 효과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현재 실시하고 있는 경유차 운행 제한, 공공차량 2부제, 사업장 배출 규제 등으로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정부가 미세먼지를 사회적 재난으로 지정한 만큼 국내외 기술 역량을 총동원해 해결해야 할 의무가 있다. 미세먼지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친환경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위기는 기회다.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을 미래 먹거리 산업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 미세먼지 해결과 친환경 과학기술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를 기대해본다.






세종=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