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림과학원 “유전자로 ‘재선충병’ 감염 확인·초기 방제 가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산림과학원 “유전자로 ‘재선충병’ 감염 확인·초기 방제 가능”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돼 고사해 가고 있는 소나무.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AD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소나무재선충병(이하 재선충병) 감염 여부를 빠르게 진단해 조기방제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소나무재선충(유충)에 감염됐을 때 특이하게 반응하는 소나무 유전자를 최초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산림과학원의 연구결과 따르면 소나무 유전자는 총 7만여 개로 이중 595개 유전자가 재선충병에 감염됐을 시 발현패턴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산림과학원 “유전자로 ‘재선충병’ 감염 확인·초기 방제 가능” '소나무재선충병 특이 반응 유전자' 발굴 및 진단키트 개발 과정 모식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이중 3개 유전자는 재선충병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요소로 산림과학원은 이들 유전자를 ‘재선충병 반응 특이 유전자’로 최종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 유전자를 분석하면 앞으로 재선충병 감염 여부를 초기에 진단해 조기방제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부연했다.


가령 재선충병은 그간 감염 후 3~6개월이 지난 후에 잎의 처짐, 갈변 등 외형적 징후를 통해 감염 유무가 확인됐다. 극단적으로 소나무가 고사한 후에야 재선충병 감염을 확진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재선충병 특이 유전자’를 이용하면 감염 증상이 나타나기 전 감염된 나무를 미리 제거함으로써 재선충병의 근원이 되는 솔수염하늘소 등 매개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산림과학원은 강조했다.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Nature)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8월호에 게재됐으며 국내에선 특허출원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산림과학원은 현장에서 1시간 이내에 재선충병 감염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진단키트 시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현재 임상실험을 진행하는 중으로 진단키트는 이르면 2020년 상용화 될 것으로 보인다.



산림과학원 이석우 산림자원개량연구과장은 “재선충병 특이 반응 유전자는 우리나라 소나무의 보존은 물론 아시아·유럽 등지의 재선충병 확산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