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재인 대통령님, 77년 납북된 아들 한번만 보게 해주세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납북 피해자 어머니 김태옥씨 호소문
"北 용서할테니 만날 수 있게만 해달라"
정전협정 체결 후 총 납북자 수 3835명
아직까지 516명 북한에 억류 중으로 파악

"문재인 대통령님, 77년 납북된 아들 한번만 보게 해주세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D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 납북 피해자 가족들이 정부에 납북자의 생사를 확인하고 한 번만이라도 만나볼 수 있게 해달라고 28일 호소했다.


전후납북피해가족연합회은 29일 청와대 분수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북한이 납북자 생사를 확인하는 회담에 임하라고 촉구할 예정이다.


1977년 8월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에 수학여행을 갔다가 납북된 이민교(당시 학생)씨의 어머니 김태옥씨는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내는 공개편지를 통해 "수학여행을 보낸 이 어미의 죄요, 그래서 북에 납치된 것도 어미의 죄"라면서 "북에 납치된 사건도 용서할테니, 죽기 전에 아들 얼굴을 한번만 보게 해달라"로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님, 77년 납북된 아들 한번만 보게 해주세요" 1972년 납북된 오대양호 선원들이 1974년 북한 묘향산에서 찍은 단체사진


김씨는 "(아들이) 평양에서 가족을 이루고 산다고 하니 다행"이라면서도 "이 어미의 소원 한 번만 들어달라. 대통령에게 직접 확인을 받고 싶다"고 호소했다.


납북자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자기 의사에 반하여 북한에 의해 군사분계선 이북지역으로 강제로 끌려간 사람을 말한다.


납북자는 크게 6·25 전쟁 중에 납북된 사람과 군사정전협정 체결(1953. 7. 27.) 이후에 납북된 사람으로 구분되며, 6.25 전쟁 중 납북자를 전시 납북자, 정전협정체결 이후 납북자를 전후 납북자로 부른다.


"문재인 대통령님, 77년 납북된 아들 한번만 보게 해주세요"


통일부에 따르면,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된 이후에도 북한은 다양한 형태로 우리 국민들을 납치해 갔다. 정전협정 체결 이후 납북자는 총 3835명이며, 이중 3319명이 귀환했다.


귀환자 중 3310명은 북한이 송환하였으며, 9명은 북한에 억류 중에 자진 탈북 귀환했다. 정부는 현재까지 북한에 억류돼 있는 전후 납북자를 516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후 납북자는 1950년대 중반부터 1970년대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납북자 대부분은 어부이나 고교생도 5명이나 됐다. 해외에서도 9명이 납북됐다.


"문재인 대통령님, 77년 납북된 아들 한번만 보게 해주세요" 2000년 이후 납북자 중에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으로 돌아온 귀환자가 발생하였다. 현재까지 총9명이 탈북하여 귀환하였다. 이들의 국내 정착을 돕기 위해 정부는 피해보상금과 주택 등을 지원하였다. 또한 귀환자가 대부분 고령이며, 생활의 어려움 있음을 감안하여 특화된 정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귀환납북자들의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자료:통일부>



정부는 납북자 문제 해결을 '자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기본적 책무로 인식하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7년 4월 공포한 '군사정전에 관한협정체결이후 납북피해자의 보상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4조에서 "국가는 납북자의 생사확인과 송환, 그 가족과의 상봉과 귀환납북자의 안정적인 재정착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명시했다.



정부는 남북관계가 성숙한 관계로 발전하기 위해서라도 조속한 시일 내에 납북자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면서, 남북대화 등 계기시 마다 북한에 납북자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은 "납북자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만을 하고 있어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