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북정상이 함께 지었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문재인 대통령·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4·27 판문점 선언에서 설치키로 합의
8월 14일 전력공급…9월 14일 개소
남북 일상적 소통채널로 자리매김 평가
그러나 불과 190일만에 北측 일방 철수


남북정상이 함께 지었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AD



[아시아경제 김동표 기자] 22일 북한이 돌연 철수를 결정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합작품이었다.


두 정상은 지난해 역사적인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설치에 합의했다.


6월 8일 개성 현장점검, 6월 19~22일간 남북 간 실무협의 및 공사준비를 거쳤다. 7월 16일부터는 당국자 및 공사인력 일부가 현지에 체류하기 시작했고, 8월 14일 전력공급이 시작됐다.


9월 14일 통일부 장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등 남북 당국 고위인사들과 남측 정당 관계자·민간분야 학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을 진행했다.


남북정상이 함께 지었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판문점 선언으로 합의된 지 140일 만인 지난해 9월14일 개성공단에서 문을 열었다. 14일 개성공단에서 열린 개소식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연락사무소 구성,운영 합의서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이후 연락사무소에는 통일부를 중심으로 유관부처 인원 등 약 20여명이 업무를 개시했으며, 북한에서도 20여명의 인원이 근무를 시작했다.


공동연락사무소장을 겸임하고 있는 통일부 차관은 매주 1회 개성으로 출근해왔다. 북측 전종수 소장이나 황충성 또는 김광성 소장대리와 협의를 주 1회 개최해 다양한 현안을 논의했다.


연락사무소에 근무하는 인원들은 매주 월요일 출경하고 매주 금요일 입경하는 근무 형태를 유지했다. 주말 및 휴일에는 당직근무자 2명이 개성에 잔류하며 상시 연락체계를 유지해왔다.


개소 이후 100일 동안에만 남북은 총 285회의 회담과 협의를 진행했다. 하루 평균 2.9회 남북의 대면 접촉이 이뤄졌으며, 남북간 총 통지문 교환 건수는 173건이었다.


보건의료, 이산가족, 철도·도로 공동조사, 올림픽 공동개최, 10·4 11주년 기념행사, 철도·도로 착공식 등 협력사업 협의도 이뤄졌다.


개성 만월대 발굴, 겨레말큰사전 편찬회의 재개, 대고려전 관련 입장 교환 등 민간단체·지방자치단체간 교류 지원도 협의했다.


이처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개소 이후 남북간 일상적인 소통채널로 자리잡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문 대통령의 대표적인 대북정책 성과로도 꼽혔다.


통일부는 '2019년 통일백서'에서 "공동연락사무소는 남북간 24시간 365일 소통 채널로 순조롭게 정착됐다"고 했다.


그러나 북측이 22일 철수를 결정함으로써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불과 190일만에 문을 닫게 됐다.


다만 북측이 자신들의 인원만 철수했을 뿐, 남측 인원의 출입을 막은 것은 아니기에 언제든 정상화될 수 있다는 여지도 남겨뒀다.



세종연구소 정성장 연구기획본부장은 "북한이 남측 인원의 철수까지 요구하거나 연락사무소 폐쇄를 결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북한의 입장이 바뀌면 북측 인원이 복귀함으로서 연락사무소가 재가동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