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도체 경기 우려 현실로…성장률 끌어내리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반도체 업황 부진이 우려가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반도체 경기 둔화가 삼성전자 어닝쇼크, 수출 감소 등 실제 거시지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믿었던 반도체마저 성장이 주춤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는 반도체를 경제의 리스크요인으로 보고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관세청이 11일 발표한 ‘1월 1일∼1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 기간 수출은 12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5%(10억3000만 달러) 감소했고, 수입은 145억 달러로 6.8%(10억6000만 달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수출이 1년 전보다 27.2% 급감한 영향이 컸다.

반도체는 설비 투자 지표와도 직결된다. 지난해 11월 설비투자는 국내 반도체 업체들의 설비투자가 마무리되면서 무려 5.1%나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 1월호(그린북)'에서 "우리 경제가 전반적으로 수출과 소비는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투자와 고용이 조정을 받는 가운데, 미·중 무역 갈등과 반도체 업황 등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에는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등을 대외 불확실성 요인으로 거론했는데 이번에는 반도체 업종의 불확실성, 특정 업종을 이례적으로 지목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정부 관계자는 반도체가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다 보니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보고 예의 주시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호황이었던 반도체 시장이 설비투자 지표 부진, 삼성전자 실적 발표 등을 계기로 둔화 우려 목소리가 고조되면서 정부도 이와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9일 4분기 '어닝쇼크' 수준의 실적을 기록했다. 이 역시 전체 영업이익의 80%를 차지하는 반도체 부진 탓이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경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제 구조다. 수출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수출은 특히 반도체 부문 실적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실제 2014년엔 전체 수출액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1%였지만 올해는 21%까지 올라갔다.


반도체 경기 냉각은 수출뿐 아니라 투자와 고용도 끌어내린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는 고용 창출 효과가 1만 명 이상에 달해 경제적 파급 효과가 수십조 원에 달한다.


또 고용이 얼어붙으면 소득 감소→소비 위축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반도체 경기 둔화가 경기 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LG경제연구원은 2017년 반도체 효과로 한국 경제성장률이 3%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이 효과가 사라지면 성장률은 2.5%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